이 시기에 많은 중수의학 저작이 편찬되어 중국 고대 중수의학의 학술 체계를 형성하였다. 중수의방약, 전통 수의침술, 가축 전염병과 기생충병 예방 치료, 수의외과학 등에서 모두 나무를 세웠다.
명나라 조정은 수의사의 발전을 매우 중시한다. 영락대전은 수의사 백과사전을 편찬했다. 성화년 동안 병부는 6 권의 유추마경을 편성했다. 나중에 태종사 양경석교는 14 권 마경과 12 권 소경을 편집했다.
정치와 군사적 요구로 인해 명조정은 장강 하류의 6 주 양주에서 양마를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기층수의사를 훈련시켜야 한다고 여러 차례 규정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유명한 수의사가 화목하게 나타났다.
유, 원항형제 두 사람은' 원형치료마집',' 원형치료소집' 을 공동 집필해 1608 에 출간해 병부 상서정빈이 순서를 정했다. 책 속의 이론 체계와 임상 실천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임상 실천을 지도하며, 자명병 치료의 고전이 되어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 조군 등은 원대 중수의서에 따라' 신종합마약' 과' 신종합우약' 을 편찬해 1399 년, 현존판은 1633 으로 기록되었다. 이 책은 많지 않아 진귀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처방은 조군 등이 중국어로 쓴 것이다. 책에는 많은 중국 고대 수의사의 고전 저작이 인용되어 있는데, 약 7 만 자이다. 전서는 총 64 절, 그림 47 장이다. 내용은 마의와 우의측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내용이 풍부하다.
예를 들어, 마의방자의 내용은 목축이다. 예를 들면 좋은 마투, 좋은 마방모도, 시마파, 시치법, 양마법, 그리고 수의학 (예: 방혈, 점통론, 강자치론, 18 중병론, 오노론) 이 있다.
청나라 초기에는 소를 경작해야 하는 수요로 우과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원형치유마집' 은 1667 재판에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물소 고전'' 낙타고전' 전집을 한 권으로 통합했다.
나중에 다시 편집하면서' 안기기' 등 고서의 일부 내용을 추가하여' 단금 47 론' 중 2 1 이론을 삭제하여' 마경' 6 권,' 소경' 2 권,' 낙타경' 을 편성했다 순서를 정하기 때문에, 내용은 주로' 요마집',' 허' 에서 유래한 것이다.
1758 년 청대 의학가 조학민이' 전야' 를 편찬하여' 전야 내편' 과' 전야 외편' 으로 나누었다. 중국 역사상 최초의 민간 검방의학에 관한 전문 저서로, 검방의학의 영원한 비밀을 밝혀냈다. 그중' 천아외편' 은 약용 조류, 약용 동물, 비늘도 열거했다.
청대 건륭년 수의사 곽회시는 1785 년' 신주마우낙타경전집' 을 집필했다. 이 책은' 소경 전집' 에 대해 전면적인 개정과 보충을 했지만 실제로는 신작이었다. 이 책은 원형치마의 내용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우리나라 축목수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신주우낙타경 전집' 은' 원형치료 마집우낙타경' 의 주석본으로' 전집' 이라고 불린다. 두 편의 저작의 전모를 살펴보면,' 전집' 은 저자가 50 여 년을 결합한 의학 실천으로' 원형집' 에 대한 대량의 수정과 보완을 볼 수 있다. 허정',' 서욱' 등 전대 버전의 내용을 통합해' 황제의 내경',' 동연론',' 원원원 플러그요',' 건등책',' 안지전서' 등을 추가해' 원형집' 을 만들었다
청나라 건륭년 태종사 관인 이남휘가' 백수 애주' 를 편찬해 소 물소 질병에 중점을 두고 마병 돼지병 양병 개병 고양이병 등을 선정했다.
청가경 초년, 중국의 유명한 수의사 푸수봉이 편집한' 양우장집' 이 1800 년에 등장해 소의 침법을 더욱 보완하고 발전시켰다. 이 책은 저자가 수십 년간의 진료 실무 경험을 집중하여 중국 수의학의 전통 사상과 방법을 계승하고 발양하였다. 이론과 임상 경험에 있어서 일가견이 있어 당시와 후세의 수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양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침술을 다루고, 두 번째 부분은 처방을 기록한다. 바늘이 맞지 않으면 약을 먹고 병을 제거한다. 약이 도착하지 않으면 침술로 병을 치료한다. 침술과 의학은 서로 보완한다.
양은 소의 경혈도를 개정하고 보충하여 40 여 개의 경혈의 정확한 위치, 깊이와 수법, 각 혈이 가리키는 병을 기술하였다.
누런, 누런 누런, 화침, 파마 바늘, 투화침, 피풍투침, 방혈침, 기침침, 손목침, 볼노랑침 치료 등 20 여종의 해당 특수침법을 각각 논술했다.
이 책이 출판되기 전에는 국내에 단 한 장의' 소체 혈도' 만 있었고, 문자 묘사가 부족했다. 이 책은 이 공백을 메워 소의 침구가 완전한 체계를 형성하게 했다.
"양" 은 98 종의 질병과 각 질병에 대한 처방제를 열거했다. 방중에서 몇 가지 현지 약초를 자주 사용하며, 포양 호수 지역의 기후 변화에 따라 4 시 약법의 처방약을 열거하였다.
양 이후 김감, 송아지닭, 소정북약, 대무정, 우마 해체가 잇따라 나타났다. 당시 양돈업이 발전하면서' 돼지경 전집' 도 편찬되어 출판될 수 있었다.
이로써 우리나라 한의수의 진료 대상은 이미 각종 가축과 가금류로 확대되었다. 중국 수의사의 독특한 체계와 변증치료 원칙이 더욱 심화되고 발전하여 중국 고대의 완전한 중수의학 학술 체계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