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저는 순자의' 인간본악' 을 지지합니다. 사람은 고등 동물이지만 사상이 있는 동물일 뿐이다.
동물에 비해 사람이 자발적으로 개인의 욕망을 조절하고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도덕과 법적 구속의 결과이지 인간성이 아니다.
인간과 동물처럼 천성적으로 이기적이고 모든 본능적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욕망을 규제하는 법과 도덕은 후천적으로 얻은 것이기 때문에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인간성은 본악이다.
"악" 이란 무엇입니까? 인간의 본능과 욕망의 무절제한 획득과 팽창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간의 본능과 욕망이 악이 아니라 인간의 진보의 원동력이며 인류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본능과 욕망의 무절제한 수요와 팽창이 악이다.
인간이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을 인식하고, 자신이 무엇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성의 본악을 인정하는 것은 세상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인간이 자신을 직시할 수 있기 때문에 법을 제정하고 도덕을 규범하고 이러한 외부 제한을 이용하여 자신의 욕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는 옛말이 있다: "천일을 잘 배우기에는 부족하고, 나쁜 것을 한 번 배우기에는 충분하다." 반면에, 항상 법과 도덕으로 자신을 구속할 수 없다면, 본성을 드러내고 악행을 많이 하게 될 것이다.' 악' 은 타고난 본성이기 때문이다. 일단 통제력을 잃으면, 그는 고삐를 벗어난 야생마와 같을 것이다.
무수한 역사적 경험은 인류의 악이 얼마나 무서운지 우리에게 알려준다. 인간은 그렇게 여러 번 서로를 죽이고, 그렇게 많은 잔혹한 형벌을 발명하고, 피비린내, 메스꺼움, 파렴치한 이익을 위해 싸웠고, 심지어 작은 땅과 약간의 부를 위해 싸우기도 했다. 수많은 계략, 무수한 살육, 때로는 약간의 이익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전쟁명언)
인류의 역사는 피비린내 나는 전쟁의 역사이다. 만약 인간 본성이 선하다면, 이런 악은 어디서 오는 것입니까?
다행히도 우리 인류는 객관적으로 자신을 살피고, 인간성의 본악을 인정하고, 법률과 도덕적 제약을 제정하고, 인류 문명을 정상 궤도로 인도할 수 있다.
인간성의 본악을 인식하고 인정해야 모든 힘을 동원하여 사람을 인도하고 선악을 징벌할 수 있다.
견자는 "배고픔은 음식이고, 추위는 따뜻하며, 노동은 이자이고, 선행은 이익이고, 악은 해를 끼친다" 고 말했다. 이것은 사람이 타고난 것이다. " 이것들은 모두 인간성이다.
사람은 당연히 배고프면 먹고,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고, 피곤하면 쉬고, 위험에 부딪히면 피한다. 이것은 인간의 본능으로 타고난 것이다.
그러나 "할 수 있고, 멈출 수 있고, 할 수 있는 것은 군자이다." 사람은 일을 할 때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할 수 없는지 알아야 한다. 이것은 신사입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자연이 악하다는 것을 쉽게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성악론은 홍수 맹수가 아니므로 우리는 회피하고 부정할 수 없다.
그것을 인정해야 의식이 있고, 목적이 있고, 그것을 바꾸고, 모든 사람이' 악' 의 본성에서 벗어나 좋은 인격을 키울 수 있다.
그래야만 사회가 악을 버리고 선을 찬양하고 인류에게 더 나은 내일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불교가 선함을 선양하는 것은 악이 아니다. 선악은 모두 인간성의 범주에 속한다. ) 을 참조하십시오
이 제목을 보고 나는 1993 제 1 회 국제대학생 토론대회 결승전이 생각난다. 당시 복단대학과 대만 성립대, 찬반 양측은 인성이 선악인지, 선화가 어떻게 악과를 낳고, 악화가 어떻게 선과를 만들어 내는지에 대해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저는 복단대학의 저명한 학자 장창건의 총결산 발언으로 이 토론을 끝내고 싶습니다. 이것도 유명한 시인 고성의 시입니다. "밤이 나에게 검은 눈을 주었지만, 나는 그것으로 빛을 찾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