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중심적 관점에서 자료의 선택을 결정하고 주제와 무관하거나 관계가 크지 않은 재료를 버리고 후회하지 않는다. 설령 그 재료들이 스스로 힘들게 수집했다고 해도. 무엇을 잃으면 수확이 있을 수 있다. 양모 한 덩어리의 1 인치 1 인치의 소중함은 잘라내기가 어렵고 몸에 맞는 옷을 꿰매는 것은 불가능하다. 기성복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료가 단지 우리 자신의 논문을 형성하는 논점일 뿐이라는 것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이것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아깝게 버려야 한다.
(c) 부분 간의 논리적 관계를 고려한다. 초심자가 논문을 쓰는 데 자주 범하는 실수는 논점과 논거가 필연적인 연관이 없고, 어떤 것은 논점을 반복해서 서술하는 것에 불과하며, 실제적이고 강력한 논거는 없다는 것이다. 어떤 자료는 많고 논거는 분명하지 않다. 어떤 부분은 유기적인 논리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런 논문은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이런 논문은 설득력이 없다. 설득력이 있으려면 가상 현실이 있어야 하고, 논거가 있고, 사례와 이론과 실천이 결합되어 있고, 논증 과정은 엄밀한 논리가 있어야 한다. 이 점은 특별히 주의해야 하며, 대강 초안을 작성할 때 검사해야 한다.
(4) 논문의 기본 구조는 머리말, 이론, 결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강 중간의 서문과 결론은 짧아야 한다. 이 이론은 전문의 중점이며, 필묵으로 써야 할 부분이므로 요강에 상세히 나열해야 한다. 이 부분에는 최소한 두 가지 수준의 기준, 즉 심층적이고 계층적인 추리가 있어야 총논점과 분논점의 유기적 결합을 구현할 수 있어 논점을 투철하고 투철하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