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온라인 법률 자문 -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아래 덕미 사법심사제도의 유사점.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아래 덕미 사법심사제도의 유사점.
독일과 미국은 모두 규범성 법률 문서에 대한 사법심사를 강조하지만 의회 입법의 사법심사와 행정법규의 사법심사를 구별한다. 독일 헌법재판소에는 추상심사와 구체적 심사가 모두 있다. 추상적 심사에서는 법과 규정을 모두 심사하는 반면, 구체적 심사에서는 법만 심사한다. 미국의 위헌 심사는 구체적 심사일 뿐 심사 대상도 법일 뿐이다. 미국의 위헌 심사는 개인이 발기하는 구체적 심사이기 때문에 독일에서는 시민이 (구체적 심사 중) 또는 공권력 (추상 심사 중) 이 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방 정부, 주 정부 및 연방 하원 1/3 의원은 법률 법규 위헌 심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법률법규에 대한 심사가 일반법원의 책임이지만 행정법규에 대한 심사는 위헌심사가 아닌 행정심사에 속하며 사법권이 행정권에 대한 제약을 반영하고 있다. 사법권으로 행정권을 제한하는 이런 제도는 유래가 오래되어 영국 법률을 이식한 결과이다. 영국은 불문한 헌정 체제이기 때문에 의회 입법보다 높은 헌법도 없고, 이른바 입법 위헌 심사도 없다. 위헌 심사는 사법권에 의한 입법권에 대한 제한이다. Marbury 대 매디슨 사건은 1803 에 설립되어 미국 자체의 발명품 [39] 이다. 성문헌법을 제정한 최초의 국가로서 미국은 법률의 사법심사제도를 창설했다. 법원은 일반 소송에서 법에 대한 위헌 심사를' 첨부' 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이런' 위헌심사' 는' 법률' 에 대한 심사만을 의미하며, 정부의 규칙과 명령에 대한 법원의 심사는 행정사건에 속하며' 위헌심사' 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독일에서는 법규에 대한 심사가 추상심사와 구체적 심사로 나뉜다. 추상심사는 전적으로 헌법법원에 의해 진행되며, 이런 심사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법률' 에 대한 추상심사이고, 하나는' 법규' 에 대한 추상심사이다. 두 검토 모두 연방 정부, 주 정부 또는 연방 하원 1/3 회원입니다. 이런 심사 메커니즘은 다양한 공공권력 간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연방정부가 법률을 심사하는 것은 사실상 연방입법부, 연방행정기관, 연방헌법법원 사이의 권력 관계를 형성한다. 주 정부의 법률 심사는 연방 입법부, 주 행정기관, 헌법법원의 삼자 관계를 형성했다. 연방 하원 1/3 의원이 심사를 할 때 입법부의 소수 (종종 야당) 가 다수 (종종 여당) 가 통과한 법률에 의문을 제기하며 입법부와 헌법재판소의 다수와 소수와의 관계를 반영했다. 조례의 심의는 주로 주 정부의 연방행정권에 대한 의문과 의회 중 소수당의 연방행정권에 대한 의문, 주 정부, 연방정부, 헌법법원의 관계, 의회의 소수당과 연방정부 및 헌법법원의 관계를 반영한다. 이러한 복잡한 삼자 권력 관계는 미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원칙적으로 국회에서 대통령을 기소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몇몇 국회의원들이 국회와 대통령 사이에서 똑같은 문제에 대해 대통령을 기소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이 국회의원들은 소송에서 원고로서 자신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한 사건에서 1 10 의원과 같은 다른 많은 의원들을 대표한다." [40] 이는 독일 의회의 소수의 사람들이 정부 규정 (미국에서는 정부를 겨냥한' 행위') 에 의문을 제기하고 헌법법원에 회부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미국의 위헌심사는 권력과 권력의 충돌을 주로 해결하고, 주로 권리와 입법권의 충돌로 민권 입법권 사법권의 삼자관계를 형성하고, 독일의 헌법소송은 권력과 권력 (권력과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 포함) 의 충돌을 해결한다. 예를 들면 헌법 청원은 권력과 권력의 충돌도 해결한다. 예를 들어, 국가기관 분쟁안은 연방 차원의 국가기관인 연방 대통령, 연방 하원, 연방 상원, 연방 정부 간의 권리와 의무 범위에 관한 분쟁을 주로 해결한다. 대통령을 탄핵하는 것은 연방 하원이나 연방 상원이 제기한 것으로 입법권과 행정권이 논란을 일으킬 때 헌법법원의 판결을 요구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법관 탄핵사건은 연방의원이 제기한 것으로 입법권과 사법권이 모순될 때 헌법법원에 호소하는 방식이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분쟁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제기한 것이며,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이러한 갈등도 권력 충돌에 속한다. 미국의 전통적인 삼권분립 제도와 비교해 볼 때 독일의 헌법재판소는 권력의 상호 제약에 제 3 의 힘을 더해 양측의 권력관계 (예: 국회와 대통령의 관계) 가 논란이 있을 때 삼자권력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했다. 제 3 자는 헌법법원이다. 미국식 삼권분립제도는 3 권 중 두 권마다 상호 제약의 틀 안에서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 국회가 대통령을 탄핵할 수 있고, 대통령이 상대적 입법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등). ), 독일 헌법재판소는 양권 갈등이 발생할 경우 제 3 자 헌법재판소에 갈등을 제출하여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두 사람이 싸우는 것처럼, 미국의 해결책은 그들이 싸움에서 적당히 양보하고, 양해를 얻고, 갈등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독일의 해결책은 싸우는 사람이 중재인을 찾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중재인은 상황을 물어보고 중재를 할 것이다. 미국 모델은 더 쉽게 충돌할 수 있고, 잘하지 못하면 교착 상태에 빠지거나, 심지어 갈등이 확대될 수도 있다. 독일 모델은 갈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제 3 자가 내린 판결은 양측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지만 중재원이 한쪽을 편애하면 공정성을 보장하기가 어렵고 중재인의 공정성은 다른 요소가 필요하다. 쌍방이 다툼을 통해 각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간혹 교착될 뿐, 미국 모델의 비용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싸움이 끝이 없고 자주 교착되면 비용이 너무 높다. 따라서 싸우는 쪽이 이성을 잃기 쉽고 자제력이 부족하다면 독일 모델을 고려해' 중개인' 을 통해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헌법재판소 자체의 공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이런 모델도 큰 실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인들은 최종 판결자에게 너무 많은 권력을 주고 싶지 않다. 연방법원의 위헌 심사권 범위는 엄격히 제한되고 독일 헌법재판소의 심사 범위는 매우 넓다. 헌법재판소가 권력을 남용하면, 그 결과는 매우 심각할 것이다. 독일의 헌법재판소는 지금까지 큰 잘못을 범하지 않았지만 앞으로도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잘 운영되고 있는 것은 제도 자체가 잘 설계되었는지 아니면 제도 밖의 다른 요인이 있는지, 아니면 둘 다 (그렇다면 어느 요인이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는가)? 이러한 복잡한 문제들은 여전히 우리가 탐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