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내용: 후기 묵가 논리는 이름, 말, 세 가지 기본 사고 형식, 이유, 이성, 클래스로 구성된 논리적 추리를 포함한 변론을 핵심으로 한다.
변론: 이후의 묵가 논리에서 논증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묵가 고전은 변론을' 쟁탈자' 로 정의한다. 즉 변론을' 소',' 비 소',' 또는' 예',' 비' 등 모순명제 한 쌍의 시비쟁으로 보고, 변론은 반드시 승패가 있어야 하며 승부를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논쟁의 목적과 역할은 "옳고 그름을 분간하고, 규율을 어지럽히고, 차이를 분별하고, 명실상부하고, 이익을 처리하고, 의심을 정하는 것" (소곡) 이다.
변론에는 이름, 말, 말의 세 가지 기본적인 사고 형식이 있다. 이후의 묵가 논리에서 이 세 가지 사고 형식에 대한 이해는 서구 전통 논리의 개념, 판단, 추리에 해당한다. 이후의 묵가 논리에서 이름은 사물의 본모습과 그 이유를 모방하고 부르는 데 사용된다. 샤오곡은 "이름은 현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고 말했다. 고전적으로 말했다: "만약 당신이 이야기의 이름으로 이야기를 한다면, 당신은 진짜 이유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이런 이름은 개념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름도 단어 (명제) 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단어의 성격도 있다. 후기 묵가는 먼저 이름을 대명 (), 클래스 (), 사사 () 로 나누는데,' 대명 ()' 은' 사물' 과 같은 범주에 해당한다. 클래스 이름은 "말" 과 같은 일반적인 개념과 같습니다. "개인 이름" 은 특정 사물로 제한되는 호칭으로, 고유 이름 또는 이름을 포함하며, 별도의 개념과 유사합니다. 후기 묵가는' 이름' 을 구체적인 개념에 해당하는' 형상의 이름' 과 추상적인 개념에 해당하는' 비형상의 이름', 시공간의 개념에 해당하는' 거행의 이름' 과' 양의 이름' 등으로 나누었다.
글은 사람의 사상 판단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소로는 "말로 의사를 표명한다" 고 말했다. 따라서 "말" 은 추리의 요소, 즉 전제, 결론 또는 논점으로 쓰이는 주제이다. 예를 들어 \ "작은 곱셈 \" 은 \ "백마, 말 도 넣어; 백마를 타고, 말을 타고' 라는 직접적인 추리를' 말로 대보' 라고 하고, 논증을' 조언' 이라고 부른다. 단어는 때때로 "단어" 와 함께 사용됩니다. 단어는 사물의 진술이며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기 묵가는' 할',' 또는',' 거짓',' 필수' 의 명제 형식, 즉 전체 이름, 선거어, 가사, 필연 등을 제시했고, 특히 명제 중 단어의 게이 성격에 대해 정밀한 견해를 제시했다. 긍정적인 명제의 술어는' 말을 타고, 주를 기다리지 않고 말을 타고, 말을 탄다' 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판단을 부정하는 서술어는 게이의 것이다. "당신이 그것을 잡을 때까지 말을 타지 말고, 몇 주 동안 말을 타지 말고, 말을 타지 마세요." 후기 묵가는 단어의 모순관계에 대해서도 초보적인 인식과 폭로를 했다. 예를 들어' 변론' 을 한 쌍의 모순된 명제로 제한하고,' 중지' 의 추론에서 특수한 부정명제로 전칭긍정명제를 반박하고, 전칭부정명제로 특수긍정명제를 반박한다.
이후의 묵가 논리에서 강조한 것은' 이치' 즉 말을 통해' 말' 의 근거와 이치를 밝히는 것이다. "에서 ..." 이 몇 글자는 하정의 각종 문장 속에서 발견되고, 그 원인이나 사례를 매우 간략하게 표기한 다음,' 경설협' 에서 설명하면 이것이 바로' 이치' 라는 형식의 응용이다. 후기 묵가는 지식을 출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었다: 듣기, 말하기, 몸소 안다. 지식은 직접 귀로 들은 지식에서 비롯되며, 알려진 것에서 알 수 없는 간접 추리 지식까지 온다. (조지 버나드 쇼, 지식명언) 예를 들어' 경협협' 에서 알려진 실외 사물의 색깔은 흰색이고, 실내 사물의 색깔은 실외 사물의 색깔과 같다는 것을 알고 있어 실내 사물의 색깔도 흰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중에 묵가는 당시의 논쟁에서 각종 추리 형식을 총결했다. 주로 선거어의 성격을 지닌' 또는', 가설적인 성격을 지닌' 거짓',' 효과' 는 직설적인 추리에 해당한다.' 예' 는 복잡한 개념 추리에 해당한다.' 중지' 는 현재 관계에서 모순된 명제 사이의 추리에 해당한다.
세 가지: 리, 리, 클래스: 후기 묵가는 말이 반드시 세 가지를 분명히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 가지 일이 반드시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말) 족하다." 그래서 사물이 생기는 원인과 조건을 가리킨다. 고전 저작에서는 큰 도리와 작은 도리의 두 가지로 나뉜다. 큰 이유는 필연적이고, 필연적인 것은 없다. "작은 일화" 는 필연적이고 필연적인 것은 없다. 그것들은 직언추리에서 가설 명제나 작은 전제의 앞부분에 해당한다. "이성" 즉 "법" 은 규칙성, 패턴성, 본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계급" 은 같은 계급을 가리킨다. 따라서 원인, 이유, 범주 등 세 가지 물건은 이 단어, 제목이나 결론이 성립될 수 있는 이유와 조건, 사물 간의 인과 관계나 조건 관계의 일반적인 법칙,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유사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일은 후기 묵가 논리 추리 논증의 원칙이자 추리 논증의 기본 형태, 즉 이유, 이성, 류 세 가지가' 단어' 를 해석하는 기본 과정과 형식이다.
논리의 법칙: 후기 묵가는 논리의 기본 법칙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설명한다. 신분면에서 하경석은 "명분이 바른 자는 거기에 멈추고, 또 거기에 멈춘다" 며, "저기" 라는 이름은 그 사실만을 가리킬 수 있고, "이" 라는 이름은 이것만을 가리킬 수 있고, 서로의 이름은 그것과 이것을 모두 가리킬 수 없다 "고 지적했다. 이것은 후기 묵가의' 정명' 원칙으로, 그 속에서 동일성의 기본 내용을 밝혀냈다. 또한 동일성의 응용을 중시하며' 의미를 먼저 이해하고 권리를 이해하는 것' 원칙을 제시했다. 즉 논쟁에서 개념을 명확히 해야 논증할 수 있다.
후기 묵가는 또' 변론' 을 한 쌍의 모순된 명제에서 시비를 논쟁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같은 동물에게 갑이' 이것은 소 한 마리' 라고 하고 을은' 이것은 소 한 마리가 아니다' 라고 하면' 다투는 질투' 라고 한다. 후기 묵가는 이런 논쟁이 "부적절하거나 필요하거나 부적절하다" 고 지적했다. 즉, 진실이 될 수 없고 거짓이 있어야 한다. 모순법의 내용과 맞먹는다. 나중에 묵가는 모순율로 당시 유행하는 논점들의 논리적 오류를 분석했다. 예를 들어,' 모든 것이 반대다' 라는 잘못된 이론을 반박할 때, 협객은' 모든 것이 반대다' 라는 명제가 사실이라면 터무니없는 발언이 없다는 것을 지적한다. 만약 이 명제가 거짓이라면, 어떤 발언은 결코 터무니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한다. 어쨌든, 이 명제는 정확하지 않다.
후기 묵가는 또한 배중법의 내용을 밝히며' 변론무승은 부당하다' 고 지적했다. 즉 모순 명제는 오류와 동일시될 수 없고, 그중에는 반드시 진리가 있을 것이다.
논리적 오류: 묵가 후기 추리 논증 중의 오류에 대해 세밀한 연구를 진행했다. 소로는 사물이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반드시 모든 방면이 같은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물의 현상은 같고, 이런 현상의 원인도 반드시 같지는 않다. 따라서 유추, 보조, 연역과 같은 논증 방법을 실수로 사용하거나 공식으로 여기저기 사용하면' 일처리가 다르고, 위태로워지고, 멀리 떨어져 가고, 멀어진다' 는 오류가 나타날 수 있다. 후기 묵가는 쉬운 추론의 오류를 ①' 예' 로 나눕니다. 즉, 긍정의 전제는 정확하고, 긍정의 결론은 잘못된 것입니다. (2) "아니오", 즉 부정의 전제는 정확하고, 부정의 결론은 틀렸다. 이질적 비교' 의 유추 원칙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석협은 작위, 친척, 품행, 가격, 어느 것이 더 길고, 어느 것이 지혜인지, 어떤 것이 더 비싼지, 분명히 터무니없는 것인지 물어본다.
영향: 후기 묵가 논리는 중국 고대 논리와 인도 고대 논리와 견줄 수 있는 과학체계 ('인도 논리사' 참조) 로 중국 논리사와 세계 논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진나라와 한 왕조 이후 이 진귀한 유산은 오랫동안 간과되었다. 진나라 때 육승은 모변에 관한 필기를 했지만 그의 서술만 남겼다. 다만 근대에 이르러 손장 양계초 장 담 등의 인재들이 묵가 논리와 서구 논리 인도 인명을 비교 연구하여 묵가 논리 사상을 다시 중시하고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