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는 서양 속담에서 나온 것이다. "허가가 없으면 안 되고, 금지가 없으면 자유를 얻는다" 는 법률 속담으로 17 과 18 세기 서양에서 유래했다. 루소의' 사회계약론' 과 멘데스키외' 법정신' 의 관련 표현과 확장이다.
법무허가 불가라는 것은 국가 공권력 행사가 반드시 법률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 자유는 법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한 시민의 행위가 불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근대 이래 규칙과 제도를 포함한 행정입법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여전히 확대된 추세가 있다. 서방 국가 행정입법이 수동적 행정에서 소정부, 대사회, 주동적인 행정에 이르는 발전 경로에 비해 우리나라 행정입법의 경로 자체는 정부에 의해 추진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행정입법은 더 강한 확장 욕망과 더 큰 자기권한 충동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행정법규 아래의 규범성 문서로 행정법규와 법률을 대체하기도 한다. 고도로 집중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에 이르기까지 행정입법을 규제하고 규제하고 감독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정부의 생명이다.
"법은 허가할 수 없고, 법은 금지할 수 없고, 자유는 금지할 수 없다." 이전 문장은 국가 공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다음 문장은 공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이미 법치국가의 보편적인 법률 원칙이 되었다.
사적 권리의 경우, "자유는 금지되지 않은 자유" 이다. 공권력에 대하여, "법은 허가할 수 없다." 시민으로서, 그는 자신의 권력을 대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으로 금지된 자유는 없다).
정부를 용감하게 감독할 수도 있다. 정부의 경우, 수중에 있는 모든 권력을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며 (법이 금지될 수 없음), 시민의 모든 권리 (법이 금지할 수 없는 자유) 를 존중해야 한다.
공권력에 대하여, "법은 허가할 수 없다." 공권력을 실현하는' 권한 없는 금지' 만이 사권의' 금지 없는 자유' 를 더 잘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공권력이 강력한 국가기계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종종 무의식적으로 사권을 짓밟는다. 사유권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왕왕 정의를 펴지 못한다.
시민의 생명권, 재산권, 교육권, 알 권리는 모두' 자연' 이고 자명한 법적 권리이다. "자유 금지 없음" 에는 두 가지 익숙한 표현이 있다. 권리 금지 없음, 처벌 없음, 금지 없음.
아담 스미스는 모든 사람이 공정법을 위반하지 않고 자신의 방법을 완전히 자유롭게 사용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