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법률 자문 무료 플랫폼 - 중화 인민 공화국 동해 방공 식별 구역의 기초
중화 인민 공화국 동해 방공 식별 구역의 기초
중국 정부가 동해 방공 식별 구역을 획설하는 것은 충분한 법적 근거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관례에도 부합한다. 1950 년대 이후 일부 대국과 중국 주변의 일부 국가를 포함한 20 여 개국이 방공 식별 구역을 잇달아 설립했다. 중국의 관련 관행은' 유엔 헌장' 과 기타 국제법과 실천에 부합한다.

각국이 방공 식별 구역을 세우는 방법은 모두 국제법의 근거가 있다. 대부분의 국가가 세운 방공 식별 구역의 범위로 볼 때, 보통 한 나라의 영해 기준선을 기준으로, 경보 레이더가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일반적으로 전속 경제 지역보다 크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전쟁명언) 유엔해양법 협약 제 55 조 전속경제구역의 정의에 따르면 전속경제구역은 한 나라의 영해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전속경제구역 상공은 한 나라의 영공이 아니며 한 나라는 전속경제구역 상공에서 주권을 행사할 수 없다.

그러나 1944 의 국제민용항공협약 (시카고 협약) 에 정의된 원칙에 따르면 공간의 법적 성질은 인접한 육지나 수역의 법적 성격 (즉' 육정공' 원칙) 에 따라 국가가 전속경제구 위의 공역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대된다. 특히 전속경제로 확대된다.

국제적으로 공식 조약이나 기타 법률 서류가 없어 방공 식별 구역의 획을 확인하지만, 여러 나라의 오랜 실천으로 볼 때 방공 식별 구역 자체를 획설하는 것은 이미 국제적인 습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국제법원 규약 제 38 조 제 1 항 제 5 항에 따르면 국제습관은 일반 규칙의 증거로 받아들여졌다. 국제 습관의 형성에는 두 가지 요소, 즉 관련 실천의 존재와 법적 신념이 있어야 한다. 전자는 어떤 행위가 각국에서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후자는 이런 관행이 모든 국가에서 일반 법률 규칙으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1950 년 미국이 방공식별구를 처음 설치한 이후 20 여개국이 방공식별구를 설치하거나 비슷한 방공경보 메커니즘을 구축했다. 최근 60 년간의 발전 과정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방공 식별 구역의 획을 받아들였다.

따라서 방공 식별 구역을 세우는 행위 (식별 구역 내에서 항공기를 식별, 문의 및 검증하는 행위 포함) 는 이미 국제 관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국이 통일된 관행이 없기 때문에, 계획 범위 결정 방법, 방공식별구에서 한 나라의 상세한 권리 등 구체적인 운영 문제는 일률적으로 논할 수 없다.

심씨는 중국 공군이 동해 방공 식별 구역에서 공중 순찰을 하는 것은 국제 관례에 부합한다고 지적했다. 동해 방공 식별 구역 내 국제선의 정상적인 비행 활동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중국군은 동해 방공 식별 구역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서로 다른 공중 위협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 공방안전을 유지할 것이다. 국제사회가 제정하고 인정한 국제법을 보면 현행국제법체계에는' 방공식별구역' 에 대한 의무규정이 없고 국제사회도' 방공식별구역' 제도에 관한 국제협약이 없다. "방공 식별 구역" 설정 여부 및 지정 방법, 전적으로 각국의 국내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각국의 자유재량 범위 내의 일이다.

중국 주변의 긴장을 감안하여 일부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도 가능한 한 빨리' 방공 식별 구역' 을 정하고 발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법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은' 유엔해양법 협약' 제 56 조와 제 58 조에 연해국에게 남은 권리를 부여하는 중요한 보완책이며, 국제법의 동등한 원칙과 평화적 이용 원칙과 중국 국가의 근본 이익의 심도 있는 융합을 촉진하는 중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미일 근접 정찰과' 남해 중미 충돌기 사건' 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찰에 근접해 생긴 해양자원 정보와 연해 전자기 정보의 이중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미일 등과 각각 방공식별구 내에서 경기를 할 수 있는 것은 그 자체로 중국이 해양주권을 수호하는 확고한 결의와 용기의 선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방공식별구역' 설립에 관한 국제법은 존재하지 않고' 방공식별구역' 을 설치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해양법 협약' 을 포함한 국제법 관련 조항을 일방적으로 해석해 자국의 특징에 적합하다는 분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