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법
자위권의 전제

자위권 행사는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아 생긴 것이다. 헌장' 제 5 1 조는 무장 공격을 구성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고, 샌프란시스코 제헌회의 기록에서도 이 개념의 정의를 찾을 수 없어 무장 공격의 정성을 매우 논란의 문제로 만들었다.

(1) 무장 공격이나 곧 발생할 무장 공격이 이미 발생했다.

논쟁의 초점은 무장 공격이 이미 발생한 무장 공격을 뜻하는지 여부이다. 일부 국가와 국제법학자들은 제 5 1 조에서' 무력공격을 받았을 때' 라는 한정어를 강조하면서' 무력공격이 발생했을 때만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 고 제한적으로 해석했다.

(2) 무력 및 무장 공격의 사용

무력을 사용하는 것이 자위권을 초래하는 무력공격을 구성하는지 여부는 또 다른 논란의 문제이다. 일부 학자들은 무장 공격이 단순히 국경 반대편의 무장 병사들이 총을 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이런 공격은 5 1 조에서 자위권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심각한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혁과 맥위니는 "선박이나 비행기에 대한 공격 ... 공격이 전면적인 무장 공격의 일부이거나 전쟁의 시작이 아니라면 실제로는 자위권이 생기지 않는다" 고 생각한다. (참고: 스타니미라 알레산드로프의' 자위, 국제법에서의 무력 사용', 97 면) 후자의 견해에 따르면, 무력을 심각하게 사용하는 행위만이 무장 공격을 구성하고, 덜 심각하게 사용하는 무력행위는 무장 공격에서 제외된다.

헌장 제 2 조 제 4 항은 무력 사용을 금지하고, 제 5 1 조는 무력공격에 대한 자위조치만 허용한다. 분명히 무력을 사용하는 것은 무장 공격과 같지 않다. 중증도가 무장 공격과 같은 무력을 사용하는 것만이 무장 공격을 구성한다. 자위권으로 볼 때 무력의 사용은 본질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⑶ 공격 무기와 무장 공격

무장 공격의 요소는 사용 된 무기의 유형에 영향을받지 않습니다. 국제법원이 강조한 바와 같이, 제 5 1 조는 구체적인 무기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것은 어떤 무기를 사용하든 무장 공격에 적용된다. 재래식 또는 비정규, 원시 또는 선진 무기로 무장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목표를 겨누다

헌장 제 5 1 조는 한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을 때 누가 자위행위를 할 것인지를 규정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이해에 따르면 자위행위는 불법 무장 공격에 종사하는 국가를 겨냥한 것이다. 즉, 정당방위는 국가 간의 법적 관계를 포함한다. 제 2 조 제 4 항의 금지성 규칙이 국가 간 관계에 적용되기 때문에 침략 정의에 관한 결의안은 한 나라나 다른 나라를 대표하여 무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규정했다.

국제법에서, 한 국가는 그 영토가 다른 나라에 대한 테러 공격의 기지로 사용되지 않도록 할 의무가 있다. 한 국가가 그 영토에서 다른 나라에 적대시하는 테러 조직을 용인하는 것은 불법이다.

인류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법 초안에 따르면, 이런 관용은 심지어 국제법의 범죄를 구성한다. 동도국이 테러 공격을 막거나 공격 후 테러 조직을 소멸하고 행동을 거부할 수 있을 때, 그 영토가 피해국에 대한 자위조치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없다. 국가 영토는 테러 범죄를 비호하는 천국이 될 수 없으며, 국가는 반드시 그 방임이나 망명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정부가 테러 조직이 그 영토에 존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테러 공격을 제지하고 처벌할 수 없을 때, 그 나라는 이에 대한 책임이 없지만 사실상 테러 조직에 대한 통제권 행사에 대한 정부의 책임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368 은 테러 공격의 후원자와 망명자의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한다. 결의 3 항은 "모든 국가에 긴급 협력을 호소하여 이러한 테러 공격의 구현자, 조직자, 지지자를 공 의롭게 하고, 이러한 행위를 원조, 지원 또는 은닉하는 구현자, 조직자, 지지자의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밝혔다.

자위권의 시간

헌장 5 1 조에 따르면 피해국은 무력공격을 받을 때 안전보장이사회가 국제평화와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때까지 언제 자위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분명히, 이것은 한 국가가 공격을 받을 때 즉각 무력으로 대응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관례국제법에서 자위권을 행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즉, "자위권 행사는 긴급하고 압도적이어야 하며, 수단을 선택할 여지도 없고, 고려할 시간도 없다" 는 것이다. 이는 무력공격으로 무력반격이 필요할 때만 자위권을 행사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정당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상황이 정당방위의 필요성을 구성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없다. 일부 학자들은 무장 공격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만 자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다른 어떤 상황에서도 무력위협의 성격에 관계없이 무력으로 반격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학자는 필요한 조건은 방위국이 직면한 위협의 심각성과 긴박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위할 때 국가의 기본 안보를 지키기 위해, 비상시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만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위권이 공격이 중지되었을 때 종료되지 않았다고 해서 상당한 기간 후에도 자위할 필요가 있다는 뜻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무장 공격에 대한 자위행위는 즉각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무장 공격과 자위권 행사 사이에 부적절한 지연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직무 간 관계 수행

자위권과 안전 보장 이사회의 직무 수행 사이의 관계

헌장은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을 때 자위권을 행사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안전 보장 이사회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때까지. 그렇다면 안전 보장 이사회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자위권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종료인가, * * *? 헌장에는 더 이상의 규정이 없다.

안전 보장 이사회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면 자위권이 종식될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반면 안보리는 필요한 조치를 취해 각국의 자위권을 박탈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전 견해에는 극복할 수 없는 결함이 있어 필요한 조치가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상황에서 피해국은 불법 상황의 계속되는 터무니없는 결과를 용인해야 한다. 자위권은 국가의' 고유' 이기 때문에, 안전 보장 이사회가 직책을 행사하는 것은 당연히 국가의 이 권리를 종식시킬 수 없다. 제 5 1 조의 전반부는 안보리가 취한 필수 조치가 자위권을 희생하는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없고, 후반부는 어느 정도 한 나라의 자위권과 안보리의 권위의 존재를 설명한다.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미국 대표단이 자위에 관한 조항 초안을 논의했을 때, 듀레스는 공격을 받은 상황에서 안전 보장 이사회가 공격당한 국가와' 평행 권력' 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보리가' 헌장' 제 7 장에 따라 취한 모든 조치가 국가 자위 조치를 종료하는 데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조치가 실제로 필요한 조치를 구성하는지 여부는 각 사건의 사실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분명히, 필요한 조치의 개념은 조치 자체가 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유효성에 있다. 즉, 그들이 실제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안전 보장 이사회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의안에서 필요한 군사 행동을 취하거나 무력 사용을 중단하라는 명령 (예: 휴전, 철수 또는 일방적 조치 중지) 을 취하기로 결정한다면 방어국은 일방적인 자위행위를 계속할 타당한 이유가 없다. 안보리의 행동이 실질적이고 효과적이지 않다면, 이를테면 협상을 통해서만 분쟁을 해결하거나 방위국이 무력 사용을 중단하도록 요구하지 않는 등 그 나라가 자위행위를 계속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자위권의 정도

제 5 1 조는 무력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에 따라 실제로 자위할 수 있는 규칙을 제공하지 않았다. 자위권은 한 국가가 무력공격을 받을 때 무력으로 반격해야 할 권리이기 때문에, 실제 무력을 사용하는 정도는 반드시 무력반격 공격에 필요한 한도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 웹스터에 따르면 자위행위는 "어떤 불합리하거나 과도한 행위도 포함해서는 안 된다. 자위의 필요성에 근거한 행위는 반드시 필요한 제한을 받아야 하고, 분명히 필요성 범위 내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고 말했다. 이것이 바로 통상적으로 말하는 비례 원칙이다. 이것은 관례국제법의 원칙으로, 국가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국제 사법판결에 의해 지지되고, 학자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인정된다. 니카라과 사건에서 양측은 합법적인 자위의 기준 중 하나가 비례성이라는 데 동의했다. 국제법원은 무력공격에 걸맞게 대응하고 대응하는 데 필요한 조치만이 합법적인 자위라고 지적했다. 이는 관례국제법에서 완전히 확립된 규칙이다. 원칙적으로 내정 간섭을 위한 반제 조치라도 반격을 일으키는 행위와 반격 자체는 심각하지 않아야 한다.

실제 무력 사용 정도가 자위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하다면 이런 자위 조치는 비례한다. 그러나 비례 원칙의 적용에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 상황에 따라 비율에 대한 요구도 다르다. 한 경우 비례 반응이 다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힘의 반응이 비례하는지 여부는 각 사건의 모든 상황에 의해서만 판단될 수 있다. 비례성 원칙은 자위행위가 일단 목적을 달성하면 멈춰야 한다고 요구한다. 군사 작전의 1% 이상이 자위가 아니라 무장 보복이다. 무장 보복은 본질적으로 징벌적이고 억제성을 지녔으며, 그 목적은' 위법국배상으로 인한 상해나 합법적인 궤도로 돌아가도록 강요하고, 더 이상의 위법행위를 금지하는 것' 이다. "

국제법원칙선언은 모든 국가가 무력 사용과 관련된 보복을 피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보고 의무

한 국가가 자위권을 행사할 때 취한 조치는 즉시 안전 보장 이사회에 보고해야 한다. 이 안배는 헌장 제도 하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국가의 초기 자유 결정이 무력에 호소하는 부족을 보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무력 사용으로 인한 분쟁에서 충돌 쌍방은 자위권에 따라 그 행위의 합법성을 증명할 수 있다. 사실, 충돌 쌍방이 무력을 사용하는 것은 영원히 합법적일 수 없다. 한쪽이 자위권을 정당하게 행사하면 상대방은 무력의 불법 사용을 금지하는 의무를 위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후자는 전자에 대해 자위권을 발동할 수 없다.

자위조치를 보고하지 않는 것이 불법이라는 견해는 헌장 규정과 관례 국제법 규칙 사이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보고 자체는 법적으로 자위주장의 합법성을 증명할 수 없다. 제때에 보고하는 것은 안전 보장 이사회가 자위주장을 받아들이는 보증도 아니고 심의를 위한 전제조건도 아니다. 안전 보장 이사회가 없는 것은 단지 문서화된 보고가 없기 때문에 해당 국가의 자위행위를 철회하고 이를 비난하는 관행이다. 공개 침략의 경우 보고 없이 자위 조치를 침략으로 바꿔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적시에 보고하면 한 국가가 자위권에 따라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확신하지만, 보고 자체를 준수하지 않는다고 해서 합법적인 자위 행동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