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권력의 성격, 특정 역사적 조건, 정치 문화 전통의 차이로 인해 각국 헌법의 권력 제한 원칙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국가의 헌법에서는 권력 제한 원칙이 주로 분권 원칙으로 표현된다고 볼 수 있다. 사회주의 국가의 헌법에서 권력 제약은 주로 감독 원칙으로 나타난다.
(1) 자본주의 국가 헌법의 분권 원칙. 자산계급은 헌법을 제정하고 자신의 국가정권을 세우는 과정에서 근대의 삼권분립 이론을 실시하여 권력 제약 원칙의 구체적인 구현인 삼권분립 원칙을 형성하였다. 권력 분립의 원칙은 분권제 균형 원칙이라고도 하는데, 국가 권력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서로 다른 국가기관이 독립적으로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들 국가기관은 권력 행사 과정에서 상호 제약과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자본주의 국가 헌법의 규정으로 볼 때 분권화 원칙의 적용은 세 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첫째, 미국. 미국은 분권과 견제와 균형 원칙을 운용하는 가장 전형적인 자본주의 국가이며 분권과 견제와 균형의 관계는 매우 명확하고 구체적이다. 미국 헌법에 따르면 입법권은 국회에 속하고, 국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행정권은 미합중국 대통령에 속하며, 사법권은 연방법원과 그 하급법원에 속한다. 동시에 헌법은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의 상호 견제와 균형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회는 대통령에게 정책 제정을 요구하고, 대통령이 외국과 체결한 조약을 비준하고, 탄핵재판을 통해 대통령을 바꿀 권리가 있다. 연방 대법원 판사에 대한 대통령의 임명을 제안하고 비준할 권리가 있으며, 연방 대법원 판사를 탄핵하고 직무를 해임할 권리가 있으며, 상원은 탄핵사건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 대통령은 국회가 통과한 법안에 대해 제한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연방 대법원 대법관은 대통령 탄핵안 재판정 회장을 맡고 있다. 헌법관례에 따르면 연방대법원은 법률을 해석하고 국회가 통과한 법률의 위헌과 무효를 선포할 권리가 있다. 현대에 대통령제를 시행하는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미국식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둘째, 영국풍. 영국이 3 권분립 원칙을 적용하는 특징은 입법권이 행정권보다 우수하고 하원이 상원보다 우수하며 입법권은 3 권의 중심이며 의회를 중심으로 한 책임 내각제를 세우는 것이 특징이다. 영국 책임 할당제의 기본 내용은 내각이 하원 다수당 지도자가 조직한다는 것이다. 각료들은 하원에 연대 책임을 지고 있다. 하원이 내각에 책임을 지지 않으면 내각이 항상 사직하거나 내각이 하원을 해산한다. 일본은 입헌군주국으로 분권화 원칙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영국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일본 헌법에 따르면 국회는 유일한 입법기관이고 행정권은 내각에 속하고 사법권은 대법원과 하급법원에 속한다. 국회는 내각 총리 대신을 지명하고 천황 임명을 요구할 권리가 있으며, 불신임 동의를 통해 내각관방 장관을 사퇴시킬 권리가 있다. 국회가 불신임 동의를 통과할 때 내각은 천황에게 10 일 이내에 하원을 해산할 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대법원은 모든 법률, 명령, 규칙이 헌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권리가 있다.
셋째, 프랑스 스타일. 분권화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프랑스는 대통령제의 특성뿐만 아니라 의회제의 특성도 받아들였다. 대통령 권력을 강화하고 의회 권력을 약화시켜 분권균형의 중심을 입법에서 행정으로 옮겨 반대통령제, 반의회제를 건립하였다. 1958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중재인과 보증인으로 국가권력을 행사한다. 그는 정부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의 제의에 따라 정부의 다른 구성원을 임명하거나 해임할 권리가 있다. 그는 내각 회의를 주재하고 내각 회의에서 결정한 법령과 명령에 서명할 권리가 있다. 헌법은 또한 대통령이 공공조직과 관련된 모든 법률 초안을 국민 투표에 제출할 권리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은 명령을 통해 의회 특별회의 소집과 종료를 발표할 권리가 있다. 헌법은 또한 수상이 내각회의 논의가 통과한 시정 강령이나 총정책에 대한 책임을 국회에 제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키거나 정부의 시정 강령이나 총정책 성명에 동의하지 않을 때 총리는 중화인민공화국 의장에게 정부 사퇴 등을 제기해야 한다.
자산계급 국가의 정치실천으로 볼 때 분권화 원칙은 자산계급 민주제도를 확립하고 공고히 하는 데 있어 국가정권이 무산계급을 위해 봉사하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미국 닉슨 대통령이 사임하도록 강요당한 것은 자산계급 독점그룹 충돌의 결과였지만 분권화 원칙도 중요한 원인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국가 행정권의 확대와 입법권의 약화로 분권 원칙이 쇠퇴하고 있다.
(2) 사회주의 국가 헌법의 감독 원칙은 파리공사가 창시한 것으로, 마르크스주의 고전 작가의 설명과 강조를 통해 사회주의 국가 헌법에 분명히 나타나 사회주의 헌법에서 권력 제약 원칙의 구체적인 형태가 되었다. 각 사회주의 국가의 헌법을 살펴보면 감독의 원칙은 일반적으로 다음 두 가지 측면에 규정되어 있다.
첫째, 인민과 인민대표, 국가기관, 직원들과의 관계에서 인민대표 (의원) 는 민주선거에 의해 생겨나고, 인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인민감독을 받고, 인민은 국가기관과 그 직원들에 대해 비판, 의견, 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련 1977 헌법 제 107 조는 "대표는 유권자와 그를 대표 후보로 추천하는 의회와 사회단체에 자신의 일과 소련의 일을 보고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유권자의 신뢰를 저버린 대표에 대해서는 다수의 유권자의 결정에 따라 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언제든지 해임할 수 있다." 북한 1972 헌법 제 8 조는 "각급 국가권력기관 구성원은 유권자에게 책임을 진다" 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1982 헌법 제 77 조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는 원래 선거기관의 감독을 받는다. 원래 선거 단위는 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본 단위에서 선출한 대표를 해임할 권리가 있다. " 제 4 1 조는 "중국인민과 시민들은 어떤 국가기관이나 국가 직원에 대해서도 비판과 건의를 할 권리가 있다" 고 규정하고 있다. 모든 국가 직원의 위법 실직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기관에 항소, 고발, 신고 등을 할 권리가 있다.
둘째, 다른 국가기관의 관계에서 일반적으로 감독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소련 헌법 1977 제 2 조에 따르면, "다른 모든 국가기관은 인민이 소비에트를 대표하여 감독하고 인민에게 소비에트를 대표하여 일을 보고한다." 우리나라 1982 헌법 제 3 조는 "국가행정기관, 재판기관, 검찰이 모두 인민대표대회에서 생겨나고 인민대표대회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인민대표대회의 감독을 받는다" 고 규정하고 있다. 제 135 조는 "인민법원, 인민검찰원, 공안기관이 형사사건을 처리해야 하며, 분담 책임을 지고, 서로 협조하고, 서로 제약하여 법률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시행되도록 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잠깐만요.
사회주의 국가의 정치 실천으로 볼 때 각국 헌법은 감독 원칙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만, 감독 이념, 특히 감독 원칙의 합법화, 제도화는 아직 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주의 국가의 헌법 실천에서 권력 제한 원칙의 시행에는 많은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