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 9 장법' 은' 법경 6 장' 을 기초로 3 장을 추가하여' 형법전' 총칙과 비슷한' 거법' 의 지위를 시작도 끝도 아니다.
삼국 때 조위가 반포한 조위법은' 거법' 을' 형명법' 으로 바꿔 법조의 맨 위에 놓음으로써 과거 형법의 총칙이 시종일관 끝나지 않았던 불리한 국면을 바꿔 봉건성문법전의 편찬 체례가 과학화 방향으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서진이 반포한' 진법' 은' 조위율' 의 형명법을' 형명법' 과' 법조법' 으로 바꿔 봉건성문법전의 총칙을 구성하였다.
남북조 북제법은 형명법과 법조를 명례법으로 합병하였다.
이후 중국의 모든 성문된 봉건법전은 모두 명례법에 따라 명명되어 청나라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청말, 심가본은' 대청신형법' 을 반포하고, 총칙과 분칙을 나누어' 명례법' 을 형법전의 총제목으로 삼는 역사를 끝냈다.
위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전국시대 형법전은 총칙으로' 법', 진한시대는' 형명법', 서진 남북조, 북제 시대는' 형명법', 남북조, 북제 시대는' 형명법' 이라고 불리며 청대까지 계속 사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