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 측량은 수평시선과 수평자를 사용하여 지면에 있는 두 점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여 알려진 점의 표고에서 알 수 없는 점의 표고를 계산합니다. 수준 측정은 일반적으로 수준 원점 또는 알려진 표고점에서 시작하여 선택한 수준 선형을 따라 각 점의 표고를 스테이션별로 측정합니다. 고도가 다른 수준이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선형을 따라 측정된 두 점 사이의 수직 차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국가 수준 측정 결과를 정리할 때 올바른 고도를 얻기 위해 사용된 정상 높이 시스템에 따라 필요한 조정을 해야 합니다.
첫째, 평준화 원칙
수준 측량은 수준급에서 제공하는 수평 시선을 사용하여 지면에 있는 두 점 사이의 수직 거리를 직접 측정한 다음 알려진 점 표고와 측정된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알 수 없는 점의 표고를 계산합니다.
그림과 같이 지면 점 A 와 B 에 수평자를 세우고, 수준자가 제공하는 수평 시선으로 수준자의 판독값 A 와 B 를 가로채면 A 와 B 두 점 사이의 높이 차이 hAB 는 다음과 같습니다.
높이 차이는 역방향 판독값에서 전방 판독값을 뺀 것과 같습니다.
둘째, 알 수 없는 점 표고를 계산합니다
1. 높이 차이 방법
높이 차이 방법-높이 차를 이용하여 알 수 없는 점 B 표고를 직접 계산하는 방법.
A 점과 B 점 사이의 높이 차이 hAB 를 측정한 후 A 점의 표고 HA 가 알려진 경우
그런 다음 b 점의 표고 HB 는 HB=HA +hAB 입니다.
2. 기기 높이 방법
기기 높이 방법-기기 시선 표고 Hi 를 사용하여 알 수 없는 점 B 표고를 계산하는 방법.
그림과 같이 B 점의 고도도 레벨의 시선 레벨 Hi 를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Hi= HA+a
HB= Hi- b
시공 측량에서 기기를 한 번에 배치하려면 여러 지면 점의 표고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기 높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편리하다.
3. 중간 방법
측량점 B 가 알려진 점 A 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기기를 한 번 배치하면 높이 차이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 시점에서 측정 선형을 선택하고 A 와 B 사이에 전환점을 추가하고 인접한 두 점마다 측점을 측정하여 높이 차이를 구하면 AB 의 높이 차이는 이 높이 차이의 합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측정명언)
변곡점: 표고를 전달하는 변환 점으로 사용되는 임시 눈금자 점입니다. (일반 회전점에는 자 패드가 필요합니다. ) 을 참조하십시오
근무지: 기구 하나를 놓을 때마다, 근무지라고 부른다.
고정밀 측정 시 기기는 앞뒤 시점 거리가 대략 같은 위치에 배치해야 하며, 지구 곡률 등거리 원리를 이용하여 측점 수직 거리 계산에서 앞뒤 판독값에 대한 곡률의 영향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중간법이라고 하며 정밀 측정에 자주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