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에 모터 축의 토크가 제동 토크로 바뀌어 모터 속도가 빠르게 떨어지고 모터가 재생 제동 상태에 있게 됩니다. 모터가 재생한 전기는 속류 다이오드 전파 정류 후 DC 회로에 피드백된다. DC 회로의 전기는 정류기 브리지를 통해 전력망에 피드백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변환기 자체의 커패시턴스만 흡수됩니다. 다른 부분도 전기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콘덴서는 여전히 짧은 시간 동안 전하를 축적하여' 펌프 전압' 을 형성하여 DC 전압을 상승시킨다. DC 전압이 너무 높으면 장비의 모든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계적 관성이 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디지털 제어 기계, 리프트 등과 같은 제동 저항을 사용해야 합니다.
확장 데이터:
이용률
제동 저항 이용률은 제동 저항의 이용 효율을 규정하고, 제동 저항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동 장치의 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제동 저항 활용도가 낮을수록 저항 발열이 적고 저항이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을수록 제동 효과가 떨어집니다. 동시에, 제동 장치의 용량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다. 이론적으로 제동 저항 활용도가 100% 일 때 제동 장치의 능력이 충분히 활용되고 제동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더 큰 제동 저항 전력 비용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제동 저항의 저항과 전력이 이미 결정된 경우 속도가 느린 큰 관성 하중에 대해 낮은 저항 사용률을 선택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빠른 중지가 필요한 부하의 경우 제동 저항 활용도가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반복 제동
비반복 제동이란 드래그 시스템이 오랜 시간 동안 단 한 번의 감속 제동 과정만 있기 때문에 제동 저항은 이 기간 동안 한 번만 에너지를 소비하며 제동 저항의 전력은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데이비드 아셀,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제동명언) 감소 폭은 제동 저항의 내충격성과 단일 감속 제동의 작용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동을 반복하다
어떤 기계들은 크레인이나 대패와 같은 반복적인 제동이 필요하다. 반복 제동과 제동 시간이 짧은 경우 제동 저항 전력 P 의 선택은 제동 듀티 비율 (각 제동 시간 TB 와 두 브레이크 사이의 시간 간격 TC 의 비율 tb/tc) 과 거의 선형입니다. 제동 듀티 비율이 작을수록 제동 저항 전력의 감소 범위가 커집니다 (P 선택 /p 수가 적을수록).
참고 자료:
바이두 백과-브레이크 저항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