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온라인 법률 자문 - 법률 교조주의란 무엇입니까?
법률 교조주의란 무엇입니까?
법률 교조주의의 기본 문제에 관한 예비 연구

독일 법학자인 드레어는 "독단론의 대상은 개인 규범, 규범 요소, 규범 복합체, 규범 간의 관계, 규범과 사실 사이의 관계 등이 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드레이어의 정의에 따르면, 우리는 법의 교조주의를 rechts wissenschaft im engerensin 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큰 한계가 있으며, 여전히 일반 법학 이론의 힘에 의지하여 법이 실증법 제도를 더 반성하고 비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게다가, 법률 교조주의의 부족은 다른 학과의 지식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률 사회학자인 레빈드는 법률 신조를 사회과학에 도입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회과학을 법률신조에 포함시키는 분야는 이론모형이든 사회사실이든 가능하다. 이런 상황은 주로 일반 용어와 불확실한 법률 개념의 구체화, 법적 허점을 발견할 때의 법률 창조, 목적론의 해석 등 세 곳에서 발생한다. " 전통적으로, 법률 해석과 적용의 지식은 법률 교조주의자들에 의해 독점되지 않는다. 법률 교조주의는 다른 사회과학과의 대화와 교류를 통해서만 사회과학의 관찰과 이해로 법률 지식의 완벽을 촉진할 수 있다.

3. 법학과 법률 해석학

법률 교조주의와 법률 해석학의 경우, 그것들 사이에는 어떤 유사점이나 통하는 점이 있다. 우선, 법률 교조주의와 법률 해석학은 역사 발전에서 일정한 일관성이나 일치성을 가지고 있다. 이른바 임의적 법률 해석학은 법학적으로 흔히' 법률 교조주의' 라고 불린다. 이에 따라 경험주의 민법 동의어로 여겨지는 민법해석학은 사실상 임의 해석학의 의미에서 민법교조주의다. 이것은 아마도 사람들이 자주 그것들을 동일시하는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또한, 이 두 용어 자체의 의미도 비슷하다.) 둘째, 연구 대상에서 볼 때, 둘 다 비슷한 점이 있다. 즉, 모두 한 나라의 어느 시기 법률제도 (실재법) 에 대한 연구에 매우 치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으로 볼 때, 다른 사회과학과는 달리, 둘 다 법률을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객관적인 고찰을 하는 것이 아니라, 법률을 현실 사회 생활질서를 지키는 규범으로 연구하여 법률 규범을 공정하고 적절하게 적용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법률 교조주의와 법률 해석학은 모두 뚜렷한 실천과학과 기술과학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두드러진 실천품격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 둘은 법제사, 법사회학, 심리학 등 사회과학 연구 성과의 보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반면에, 법률 교조주의와 법률 해석학은 결국 다르기 때문에 결코 간단하게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서양 법학에서 법률 해석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어떤 사람들은 좁은 법률을 법률 해석학으로 여긴다. "... 거의 2000 년의 역사를 가진 법학은 이른바 법률해석학의 선사 단계에 있을 뿐, 진정한 법률해석학은 근대에 이르러서야 형성되기 시작했다. "법률 해석학은 발전 과정에서 자연법, 개념법 등 법학 유파의 영향을 받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법률 교조주의는 발전 과정에서 지역 문화가 더 강한 지식으로 보이며, 특히 독일 위주의 유럽 법계 국가에 적합하다. 게다가, 법률 해석학에 비해 법률 교리학은 학과도 아니고 전문적인 법학 과정도 아니다. 연구 대상으로는 법률 해석학보다 법률 교조주의가 실재법에 더 중점을 둔 것 같다. 대만 학자 왕리다가 말한 바와 같이, "현재 볼 수 있는 법률해석학 이론 논술의 사상원, 추리 전제, 가치 판단 기준은 반드시 현행 실재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법해석학은 실재법 규범 이외의 가치사유원에 대해 충분한 중시를 하지 못했다. " 전통적인 사고 방식의 영향으로 법주의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가 잠시 바뀌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법률 교조주의 연구 대상의 이러한 변화와 연구 방법과 연구 경로의 구분에 근거하여, 왕리다는 방법론적 관점에서 법률 교조주의를 더욱 반성하였다. 특히 법적 논증 이론의 부상과 발전에 따라 법률 교조주의의 지식 속성과 학과 위치도 변화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20 세기 후반 이후 철학 해석학의 실체론이 바뀌면서 법률 해석학에도 약간의 변화가 일어났다. 새로운 시대적 맥락에서 법률 교조주의와 법률 해석학이 모두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들의 관계는 더욱 밀접해졌고, 두 사람 모두 실천적 이성의 품격으로 법률 지식에 투신했다.

논평에 대해서는 임래반 정뢰 편집장의' 법률방법론론 토론' 을 참고하여' 법학' 2004 년 제 3 기를 실었다. 법률 교조주의는 법률 방법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진흥량은 방법론적 의미에서 형사교조주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주장한다. 형법이 과학이 되려면 형법 교리학 방법론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 진흥량:' 형법 이론 방법론' 을 참고하여' 법률 연구' 2005 년 2 기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