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온라인 법률 자문 - 말레이시아 지적재산권 제도와 중국 지적재산권 제도의 차이
말레이시아 지적재산권 제도와 중국 지적재산권 제도의 차이
이 둘의 주요 차이점은 적용 법률이 다르고 발전 역사가 다르다는 점이다. 그러나 주요 목적은 시민의 권리, 즉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말레이시아에서 특허 보호와 관련된 주요 법규는 특허법 (1983) 과 특허 규칙 (1986) 이다. 특허법과 특허 규칙에 따르면 신청자는 말레이시아에서 직접 특허를 신청할 수 있다. 일단 등록되면 이 특허는 말레이시아 전체에서 유효하다. 다른 나라의 입법과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도 참신함, 혁신, 산업 적합성을 갖춘 발명만이 특허를 신청할 수 있다고 입법했다.

TRIPS 협정에 따르면 강제 허가 범위 내에서 특허법은 이미 다른 나라 시장에 투입된 특허 제품 (수입과 유사) 의 수입을 허용한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공공질서나 도덕적인 이유로 특정 특허의 상업 개발을 금지했다. 특허법 개정 후 특허협력협정 관련 규정이 추가되어 특허제품이 강제 허가 범위 내에서 수입될 수 있도록 했다.

TRIPS 협정에 따르면 특허법은 특허 보호 기간을 20 년으로 규정하고 신청일로부터 계산한다. 실용 신안의 보호 기간은 10 년이며 신청일로부터 계산됩니다. 사용량에 따라 연속 2 회 연장을 신청할 수 있으며, 한 번에 5 년 연장할 수 있습니다. 특허 소유자는 특허 발명을 개발, 양도 또는 전파할 수 있는 권리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고 있습니다.

중국 1984 년 3 월 12 일 제 6 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 4 차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특허법' 을 통과시켰다. 1985 4 월 1 일, 중국 특허법 시행 첫날, 전 중국 특허국은 국내외에서 총 3455 건의 특허 출원을 받았고, 세계지적재산권기구로 세계 특허사상 신기록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의 특허법은 발명, 실용 신안, 외관 디자인을 보호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특허법은 발명만 보호하고 실용 신안과 외관 디자인의 보호는 단독으로 입법한다. 우리나라는 한 법률에서 발명, 실용 신안, 외관 디자인에 대한 보호를 규정하고 있으며, 모두 특허라고 하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특허법 입법체계의 특징 중 하나이다.

특허법이 반포된 후 두 차례 수정을 거쳤다. 1992 년 9 월, 중국 정부가 중미 달성한 지적재산권 양해각서에서 한 약속을 더 잘 이행하기 위해 중국은 처음으로 특허법을 수정했다. 2000 년 8 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는 수요에 적응하기 위해 특허법이 두 번째 개정되었다.

중국의 지적 재산권 제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적 재산권 제도는 세계에서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각종 지적재산권 중 특허, 상표, 저작권은 입법시간이 가장 빠르다. 그 역사적 발전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초기 단계 (13 세기부터 14 세기까지)

이 단계에서는 봉건 왕실이 수공업자나 상인에게 부여한 특허 같은 독점 특권이 등장해 이후 지적재산권 제도의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2. 초기 단계와 보편적 건립 단계 (15 세기부터 19 세기 말)

이 단계에서 베니스 특허법 (1474), 영국 독점법 (1623), 영국 저작권법 (/KLOC) 과 같은 세계 최초의 특허법, 저작권법, 상표법이 잇따라 탄생했다. 19 말 대부분의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은 지적 재산권 제도 (주로 특허 제도, 상표 제도 및 저작권 제도) 를 설립했다.

3. 진일보한 발전 단계 (19 말 ~ 20 세기 말)

현 단계에서 지적재산권 제도의 진일보한 발전은 주로 두 가지 방면에서 나타난다.

수직적 발전: 서구 자본주의 국가의 지적재산권 제도가 지속적인 수정을 통해 더욱 개선되고 과학적이 되는 것, 특히 국제 지적재산권 제도가 수립됨에 따라 (예: 1883 의 파리 공약과 1886 의 베른 공약) 각국이 이러한 맥락에서 각국은 더 많은 지적재산권 국제조약 (수십 개) 을 체결하여 지적재산권 보호의 대상과 지적재산권의 종류를 점차 늘렸다. 1970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 가 설립되었을 때 각국의 지적재산권제도는 이미 새로운 수준에 이르렀다.

수평발전: 지적재산권 법률제도가 자본주의 국가 이외의 더 많은 국가에서 시행된다는 것이다. 20 세기 후반에 사회주의 국가들은 지적재산권 보호 제도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구소련과 동유럽 국가들도 자체 특허법, 상표법, 저작권법을 제정했다. 또 제 2 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독립을 획득한 광대한 개발도상국들은 자국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특허 등 지적재산권 제도를 시행했다. 1980 년대 이후 중국도 지적재산권 입법을 제정하여 세계에서 지적재산권 제도를 보유한 국가 대열에 가입하기 시작했다. 물론 사회주의 국가, 개발도상국, 자본주의 국가의 지적재산권 제도는 여러 방면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구소련과 대부분의 동유럽 국가들은 발명인증서제도와 특허제도가 혼합된 발명보호제도 (이른바' 2 선제') 를 실시하여 발명인증서를 받은 후 발명권이 국가가 소유하고 발명인은 일정한 보수만 받고 국가가 승인한 다른 사람이 발명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부 독립 개발도상국에서는' 수입 특허' 와' 특허 확인' 제도를 시행하는데, 이런 특허는 외국 (원종주국) 의 유효 특허를 기초로 부여되기 때문에 국내 특허국이 등록되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특허 제도는 큰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로는 우리나라에 완전히 독립된 특허 제도를 세우지 않았다.

4. 지적재산권제도는 무역과 연계된 단계 (20 세기 말 현재)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제무역에서 상품의 지식과 기술 함량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시장 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각국, 특히 선진국들은 이미 국제무역에서 지적재산권 보호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일부 국가들은 자국의 지적재산권 입법과 법 집행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입법을 활용하고 국제공약과 조약에 서명하거나 개정해 다른 국가들이 자국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개선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발전은 관세 및 무역총협정의 틀 안에서 무역 관련 지적재산권협정 (TRIPS) (1995 부터 세계무역기구로 대체) 으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대대적으로 추진한 것이다. TRIPS 의 탄생은 지적재산권 보호의 범위를 더욱 넓혔을 뿐만 아니라 WTO 멤버들이 충족시켜야 할 최소 보호 요구 사항을 제시했고, 각기 다른 나라의 기존 지적재산권 제도를 같은 최소 보호 기준으로 통일했다. 세계 지적재산권 제도, 심지어 국가 간 경제무역 관계의 미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