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법률 자문 무료 플랫폼 - "행동의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이 효과인가 동기인가?" 논쟁입니다.
"행동의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이 효과인가 동기인가?" 논쟁입니다.
제안: "행동의 선악을 평가하는 기준은 효과이지 동기가 아니다." 그는' 윤리학도론' 과' 행동과학의 이론적 기초' 를 인용해 (1) 선악은 도덕적 범주에 속하며 법적 기준으로 측정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른바' 선' 이란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타인과 사회에 유익한 행동이다. "악" 은 타인과 사회에 해로운 행위이다. 인용문에서 볼 수 있듯이, 문장 속의' 유익' 과' 유해' 라는 단어는 의심할 여지 없이 행위의 효과로 판단된다. "동기" 는 은밀한 특징을 지닌 주관적인 상태이며, 동기는 항상 행동을 통해 표현해야 한다. 단순히 동기만으로 행동을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행동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같은 동기가 다른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녹화기를 원할 때, 이런 동기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하나는 열심히 일하고, 월급을 많이 받고, 돈을 모아서 사는 것이다. 둘째, 검소하게 먹고, 돈을 모아 사다. 보시다시피, 이 두 가지 행동은 감정과 이성에서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릇된 길로 불의한 재물로 사고 싶다면, 그러한 행위는 틀림없이 악할 것입니다. (데이비드 아셀,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돈명언) 선과 악의 두 가지 다른 행동은 모두 같은 동기로 인한 것이다. 동기만으로 행동을 보지 않는다면, 그들의 행동의 선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 합리적인 동기도 불합리하거나 잘못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는 막대기로 아이들을 교육합니다. 부모의 동기로 볼 때, 아이를 인재로 만드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좋은 동기이자 좋은 동력이다.

나는 선악을 평가하는 기준이 대중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는 도덕관념의 개괄, 즉 기존 법률이 초래한 효과, 즉 집주인이 말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너는 법률의 판결과 양형이 모두 행위의 결과에 근거하고 있으며, 결과만을 근거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제 3 자로서, 당신은 일이 발생하는 과정에 참여할 조건이 없기 때문에, 동기는 개인의 주관적인 이데올로기에 속한다. 행동의 전 과정에 참여해야만 이 동기가 선한지 악한지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정상적인 판단으로는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A 는 B 를 잘못 죽였다. A 주관적으로 B 를 죽이고 싶지는 않지만, 이것은 실수이며, 결국 B 가 죽었다는 기정사실로 이어졌다. 정면에서 보면 A 는 무죄로 석방되어야 합니까? 물론, 이것은 분명히 불가능하다. B 의 죽음은 A 가 초래한 것이다. 당연히 그는 이 실수의 결과를 감당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ABC 가족 세 명이 있습니다. A 는 밖에서 바람을 피워 아내 B 를 독살하려고 B 의 밥그릇에 독을 넣었다. B 와 그들의 아이 C*** 가 그릇을 하나 사용했는데 BC 에 중독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A 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B 는 구조되었다. C 는 나이가 어려서 죽었다.

그럼 A 의 행동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A 는 B 에게 고의적인 살인이고, C 에게는 과실살인이지만, A 는 곧 BC 를 병원으로 이송했다. 이는 또 한 번의 범죄 중단이다. 긍정적인 견해에 따르면, 행동을 판단하는 기준은 동기이기 때문에 A 가 B 를 죽이려는 것이 악인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BC 를 병원에 데려다 줄래?

B 는 죽지 않았고, 고의적인 살인죄는 성립되지 않았지만, C 가 죽어서 과실로 사람을 죽게 했지만, 법적으로 볼 때 A 는 고의적인 살인죄를 범하고, 법률의 판단기준이 이런 행위의 최종 결과라는 것을 설명하고, 처음부터 법률의 정의도 말했다. 법은 무엇입니까? 법률은 국가가 제정하거나 인정하고, 국가 강제력에 의해 집행하는 것은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편적인 구속력을 가진 행동 규칙이다.

최종 결론은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은 법이고, 법적 판단행위의 기준은 효과라는 것이다. 즉, 행위의 선악을 평가하는 기준이 효과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