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법률 자문 무료 플랫폼 -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에는 강제적으로 그 죄를 증명하지 않는 원칙이 있습니까?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에는 강제적으로 그 죄를 증명하지 않는 원칙이 있습니까?
1. 강제 자증죄는 인권을 존중하고 보장하는 구체적인 표현이다. 강제적으로 그 죄의 원칙을 증언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묵비권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침묵권이란 범죄 용의자, 피고인이 경찰의 심문을 받거나 법정에 출두해 재판을 받을 때 침묵을 지키고 답변을 거부할 권리를 말한다. 그러나, 강제자증 금지 원칙은 범죄 용의자, 피고인의 인신자유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했다. 양자의 출발점이 다르다. 묵비권의 근본 목적은 인권을 보호하고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다. 강제자증 금지는 주로 고문에 의한 자백 현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자기 증언을 강요하는 죄는 묵비권의 일부분일 뿐이다. 어쨌든, 강제자증 금지는 우리 나라의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권보장은 어느 정도 고문금지 자백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이뤄졌다. 또한 우리나라 형사소송법 제 118 조는 범죄 용의자가 수사원의 질문에 사실대로 대답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규정이 강제 자증죄를 금지하는 원칙과 상충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들이 성립된 기초 위에서, 그것들은 완전히 대립되는 것은 아니다. 의무에 진실되게 대답하든, 자증죄를 금지하든, 모두 우리나라의 사법현황에 기반을 두고 있다. 우리 나라가 사법실천에서 실체정의 추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진실된 답변 의무에 관한 규정은 형사소송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효과적인 보장이며, 강제자증 금지 원칙은 고문 금지에 대한 자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다. 양자가 서로 융합되는 것은 범죄 용의자, 피고인 권리, 자유에 대한 합리적인 제한이자 범죄 용의자의 인권 보호이며, 실체정의의 실현에 유리한 것이지 모순된 관계가 아니다.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에서 의무와 강제자증 금지 원칙이 공존하는 것은 우리나라 사법현황에 따라 범죄 용의자와 피고인의 인권에 대한 이성적 보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강제자증죄는 무죄 추정 원칙 구축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무죄 추정 원칙은 이미 세계 각국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인권보장 원칙이 되어 소송제도 구축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 기본 의미는 누구든지 법에 따라 유죄 판결을 받기 전에 무죄로 추정되거나 추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죄 추정 원칙에는 세 가지 기본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즉, 유죄 판결권은 법원에서만 행사할 수 있습니다. 피고가 유죄임을 증명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되며, 무죄를 증명할 의무도 없다. 증거부담은 고소인이 부담한다.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은 무죄 추정 원칙을 명확히 규정하지는 않았지만. 그러나 우리나라' 형사소송법' 제 12 조는 인민법원의 법 판결 없이는 누구에게도 유죄를 확정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우리나라의 유죄 판결권이 법원에 의해서만 행사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나라 형사소송법 제 49 조는 공소 사건에서 피고인이 유죄임을 증명하는 책임은 인민검찰원이 부담하고, 자소 사건에서 피고인이 유죄임을 증명하는 책임은 자소인이 부담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증거부담은 고소인이 부담한다는 것이다. 형사소송법 개정은 강제자증 금지를 분명히 지적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무죄 추정 원칙에 대한 추가 보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