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단서를 모으는 공고는 적어도 이 사람이나 이 단체가 위법 혐의를 받고 있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이지만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
확장 데이터:
범죄 개념은 범죄의 각종 내면과 외적 특징에 대한 매우 정확한 요약이며 범죄의 내포와 외연에 대한 정확하고 간결한 설명이다. 범죄 개념은 일반적으로 형식 개념, 실질개념, 혼합개념으로 나뉜다. 우리나라 형법의 범죄 개념은 형식과 실질이 통일된 혼합범죄 개념이다.
범죄의 형식 개념은 죄형법정 원칙에서 유래한 것으로, 죄형법정 원칙에서 파생된 범죄 개념이다. 형식적인 범죄 개념은 행위의 형사위법성에 초점을 맞추고, 형사위법성을 범죄와 비죄를 구별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삼는다.
범죄 개념이라는 형식은 법적 규범의 의미에서 범죄의 정의를 가리킨다. 따라서 형식상의 범죄 개념은 법률상의 범죄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법은 사회에 비해 일종의 형식적인 것으로, 일정한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사실에 대한 인정이다. 그러나 이런 법적 형식은 사회관계나 사회사실에 규범 작용을 하여 이런 사회관계나 사회사실을 합법하게 한다. 범죄 문제에서 범죄는 객관적인 사회적 사실이며, 사회가 일정한 가치 기준에 따라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형법이 규정될 때까지 이런 행위는 불법이 아니며 형법의 의미에서 범죄가 될 수 없다. 바로 형법의 규정을 통해 어떤 행위를 사회적 부정적 평가에서 형법상의 범죄 행위로 바꾸는 것이다. 형식상의 범죄 개념은 실질적인 법적 내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범죄 형태 개념이 범죄에 형사위법성을 부여하고 범죄를 인정하기 위한 법적 기준을 제공하는 것은 인권을 보장하고 형법의 올바른 시행을 보장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는 점이다.
범죄의 본질적 개념은 범죄에 대한 법적 정의에 만족하지 않고 법 뒤에 숨겨진 사회정치 내용을 밝히려고 시도한다. 범죄의 본질적 개념은 범죄를 단순한 법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먼저 범죄를 사회 현상으로 보고 범죄와 사회의 연계에서 범죄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다. 범죄의 실질적 개념이 법률 형식을 돌파해 범죄를 이해하고, 한 행위가 형법에 의해 범죄의 실질적 문제로 정의되는 이유를 어느 정도 해결했기 때문이다. 범죄의 본질 개념을 확립하고, 범죄를 사회의 시야에 배치하고, 범죄와 사회 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범죄가 왜 형벌처벌을 받아야 하는지를 밝히는 근거는 범죄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