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주의는 일종의 철학 사상으로서 자연과학의 경험방법과는 다르다. 경험법은 우리의 감각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진술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감각 경험과의 관계란 자연법칙에 따라 아직 일어나지 않은 감각 경험에 대한 우리의 기대도 포함한다. 만약 이 제한을 초과한다면, 우리는 몇 가지 형이상학적 가설을 받아들일 것이다. 자연과학에서 이런 연구 방법은 나무랄 데 없다. 실증주의는 이런 경험원칙을 모든 과학과 모든 진리의 기준으로 일방적인 경험주의가 되었다. 감각 경험을 직접 표현하는 진술이나 이런 진술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명제만이 의미가 있다고 믿고 이론적 사고의 중요성을 부인한다. 인식론에서 한쪽으로 쓰러진 막다른 골목으로 접어들면서 과학적으로는 자멸과 같다. 따라서 실증주의의 적극적인 역할을 긍정하는 동시에 그 한계도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