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윤리학과 정치학의 기본 범주. 윤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일정한 도덕기준에 따라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 일종의 도덕평가, 즉 정의를 가리킨다. "의" 라는 글자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견자에서 볼 수 있다. "배움이 없고, 부귀이민이 속인이다." " 정의관념은 원시적인 평등관념에서 싹트어 사유재산이 나타난 후 사회에 형성되었다. 사회나 계급에 따라' 정의' 에 대한 해석이 다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사람들이 자신의 수준에 따라 해야 할 일이 정의라고 생각했다. 기독교 윤리학자들은 몸이 영혼에 복종해야 정의라고 생각한다. 마르크스주의 윤리학은 정의의 객관적 기준이 주로 그 행위가 사회 발전의 요구와 대중의 이익에 부합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특성
Cihai 는 설명했다:
정치, 법률, 도덕 등의 분야에 대한 시비, 선악에 대한 적극적인 판단. 도덕적 범주로서,' 정의' 와 동의어로, 주로 일정한 사회 도덕규범에 부합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인간의 행동이 역사 발전의 법칙과 가장 넓은 인민의 근본 이익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는 인간의 행동이 정의의 객관적인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 플라톤은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정의다" 고 생각했고, 울비안은 "정의는 모든 사람에게 마땅히 받아야 할 권리를 부여하는 영원하고 안정적인 의미" 라고 생각했고, 켈슨은 "정의는 주관적인 가치 판단" 이라고 생각했다. 학자들은 이 개념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다. 우리의 개념에서 정의는 공정성과 정의이다. 정의는 법률의 원천 중 하나이며 법률의 추구와 귀착점이기도 하다.
정의는 주관적인 가치 판단이기 때문에, 하나의 행동이나 상태가 정의인지 아닌지는 세 가지 요소, 즉 사람, 사회, 그리고 사람과 직접 관련된 것을 포함한다. (존 F. 케네디, 정의명언) 인간은 정의의 반성과 평가의 주체이다. 사회의 형성은 인간의 생성과 조합에 기인하며, 사회는 인간의 분할과 분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은 타인과 동등한 지위와 대우를 받을 수 없으며, 종종 사회적 불공정 (공평함) 으로 귀결된다. 상태, 스펙, 자유 등 사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들입니다. , 사람들의 평가를 주도합니다. 고대에 가장 원시적인 사회가 형성되었을 때, 원시 노동 성과의 분배와 함께 사람들은 정의에 대해 토론하기 시작했다. 어떤 행동과 상태가 정의인지, 다른 기준, 다른 각도, 다른 입장, 그들의 관찰과 결론은 종종 다르다.
미국 학자 롤스는 두 가지 정의 원칙을 제시했다. 우선,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이 소유한 유사 자유체계와 호환되는 가장 광범위한 기본자유체계의 평등권을 가져야 한다. 둘째,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안배하여 합리적으로 그들 (1) 이 모든 사람의 이익에 부합할 것으로 기대해야 한다. (2) 정체성과 지위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다. 롤스는 또한 "자유와 기회, 소득과 부, 자존감, 기초 등 모든 사회적 가치를 동등하게 분배해야 한다. 한 가지 가치나 모든 가치의 불평등한 분배가 모든 사람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는 한." 라고 표현할 수 있는 더 보편적인 정의관을 지적했다.
법적 개념을 정의에서 해방시키기는 어렵다. 언론과 일반 대중의 눈에는 정의와 법률의 개념이 끊임없이 혼동되고 있으며, 순수 법학은 법과 정의를 동일시하고 두 가지 다른 문제로 취급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두 개념을 결합하는 경향이 있고, 두 개념이 지나치게 명확한 구분에 찬성하지 않는다. 법이 정의를 포기하면 사회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잃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의가 법에서 벗어나면 전달체를 잃고 실제적인 용도가 없는' 가치 판단' 이 될 수밖에 없다. 나는 켈슨의 관점을 매우 추앙한다. 정의는 주관적인 가치 판단으로서 법학에 의해 배척당할 수도 있지만, 정의를' 정당성' 으로 해석한다면 정의라는 개념은 법학에 포함되어야 한다.
사람들이 법이 정의 (합법성) 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할 때, 그들은 흔히 그 법이 모든 사회 구성원의 만족을 위해 사회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지를 기초로 한다. 그러나 사실, 모든 사회 구성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법이 있을 수는 없다. 모든 사람의 수요가 일치하지 않고 수요 간의 충돌이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정의의 법률에 의해 조정된 사회관계와 사회질서는 대다수 사회 구성원의 인정과 만족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또 자연법학파가 제기한 절대정의관을 언급하고, 법률 이원론을 주장하며, 법이 실재법과 자연법으로 나뉘어야 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불완전한 실재법 위에 완벽하고 절대적으로 공정한 자연법이 있다. 그러나 이성적인 사람은 이런 절대적인 정의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세상이 알 수 있는 것처럼, 사람은 무한한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고, 세상은 영원히 완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켈슨의 말을 빌리자면, "정의는 인간의 이해가 접근할 수 없는 이상이다."
법률은 각 방면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사람들이 법적인 도움을 구하고, 법으로 범죄자를 처벌할 때, 공평이 유지되는지, 정의가 신장되었는지, 법률 정의 (합법성) 의 인정 척도이며, 법이 생존하는 토양이다. 법이 정의에 기초할 때만 정의의 개념이 법률의 기초 위에서 승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