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법체계의 특징: 규칙이 명확하고 체계적이다. 규칙 간의 논리적 관계는 개념 체계와 제도 체계를 구성하는데, 매우 유용하지만 단점은 경직성이다. 사회생활 발전에 새로운 문제와 새로운 상황이 생겼을 때, 법률 규정이 없어 처리하기 어렵다. 법은 경직되어 융통성이 없다. 대륙법계 국가의 법계 가입에 대한 초기 결정은 자발적이었다. 즉, 그것은 자율적인 선택과 주동적으로 프랑스법, 독일법의 결과였다. 2. 영미법계의 특징 영미법계: 성문법전이 없고, 엄격한 개념체계가 없어 파악하기 어렵고, 법률에 대한 적용 요구가 높다. 그것의 장점은 유연성이다. 법률 규칙은 입법기관이나 의회가 제정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판사가 창조한 것이다. 사회 생활에서 새로운 문제와 새로운 사건이 발생할 때, 판사는 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들 수 있다. 영미법계의 국가들은 영국 본토를 제외하고는 처음에는 자발적으로 법제에 가입한 것이 아니라 점령, 정복, 식민의 결과이다. 3.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의 차이 (1) 법적 연원이 다르다. 대륙법계는 성문법 체계로, 그 법률은 성문법 형식으로 존재한다. 그 법적 연원에는 입법기관이 제정한 각종 규범성 법률 문서, 행정기관이 반포한 각종 행정법규, 본 차가 참가하는 국제조약이 포함되지만 사법판례는 포함되지 않는다. 영미법계의 법적 연원은 성문법과 판례, 판례로 구성된 판례법이 전체 법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 법률 구조가 다르다. 대륙법계는 고대 로마법의 전통을 계승하여, 어떤 법률 부문이 법전으로 확장해 낸 규범에 대해 통일되고 체계적인 규정을 만드는 데 습관이 되어 법률 구조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영미법계는 법전을 거의 제정하지 않고, 단행법 형식으로 어떤 종류의 문제에 대해 특별한 규정을 하는 것에 습관이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법률 체계는 구조적으로 주로 단행법과 판례법에 의해 발전한다. (3) 판사의 권한은 다르다. 대륙법계는 법관이 성문법의 규정만을 이용하여 사건을 심리할 수 있을 뿐, 법관의 성문법 해석도 성문법 자체에 의해 엄격하게 제한되기 때문에 법관은 법만 적용할 수 있고 법률을 만들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영미법계의 법관은 성문법과 기존 판례를 참고해 사건을 심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조건 하에서 법률 해석과 법률 추리의 기교를 운용하여 새로운 판례를 창조할 수 있으며, 판사가 법률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 내에서 법률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 (4) 절차가 다르다. 대륙법계의 소송 절차는 법관을 중심으로 법관의 기능을 강조하며 심문 절차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판사와 배심원들은 법정을 구성하여 사건을 심리한다. 영미법계의 소송 절차는 원고, 피고인 및 변호인, 대리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판사는 쌍방의 분쟁의' 중재자' 일 뿐 분쟁에 참여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이런 대항식 (답변이라고도 함) 절차에는 배심원제도가 존재하고, 배심원단은 주로 사실결론과 기본법결론 (예: 유죄나 무죄) 을 내리고, 판사는 구체적인 법률결론, 즉 판결을 내릴 책임이 있다. (5) 법률 분류가 다르다. 영미법계는 로마법의 영향이 적고, 법률 규범에 따라 공공의 이익이나 사적 이익을 보호하지 않고, 모든 법률 부문을 공법이나 사법으로 나누었다. 영미법계의 많은 나라에서는 통일된 민법 부서가 없고, 역사적 전통에 따라 관련 법률을 물권법, 계약법, 침해법으로 나눈다. 로마법의 역사적 전통과 계몽사상의 이론적 토대 때문에 민법체계는 공법과 사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독점 자본주의의 출현과 국가 권력의 강화로 공법과 사법 사이에 일부 공공법 부문, 즉 사회경제법이 나타났다. (6) 법적 사고 방식이 다르다. 영미법계는 판례법을 주요 법적 연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판사와 변호사는 대량의 사건에 존재하는 법률 원칙을 추상화, 감탄, 총결 및 비교해야 가장 적절한 법률 원칙을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할 수 있다. 사법권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법은 대의제 입법기관이 제정할 수 있고, 판사는 정해진 법률로만 사건을 재판할 수 있다. 따라서 대륙법계 국가에서 판사의 역할은 기존 법조문에서 적용 가능한 법조문을 찾아 사실과 연결시켜 필연적인 결과를 추론하는 것이다.
설명을 추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