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자를 지정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보호자를 지정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보호자 지정은 인민법원이나 보호자를 지정할 권리가 있는 기관의 지정에 따라 후견인 의무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민사행위능력자,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보호자를 지정할 수 있는 조직과 기관, 미성년자 부모나 정신병자가 거주하는 단위, 미성년자 또는 정신환자가 거주하는 주민위원회, 촌민위원회, 인민법원 등이 있다. 미성년자 또는 정신병 환자로서 보호자를 지정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조부모, 외조부모, 손자녀, 외손자 자녀 등 미성년자의 가까운 친척으로 제한된다. [1] 위 조직, 기관의 지정권도 우선권을 가지고 있다. 미성년자의 부모가 있는 기관이나 정신환자가 있는 기관이 먼저 지정권을 행사하고, 이어 미성년자나 정신환자가 거주하는 주민위원회나 촌민위원회가 그 뒤를 이을 것이다. 미성년자나 정신병자의 근친이 관련 조직의 지정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할 경우에만 인민법원은 지정된 보호자를 판결할 수 있다. 법정 대리인과 보호자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1) 보호자와 법정대리인은 본질적으로 일치한다. 후견인은 미성년자와 정신병 환자의 개인, 재산 및 기타 합법적 권익을 감독하고 보호하는 민사 법률 제도를 가리킨다. 후견인 의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후견인이라고 합니다. 미성년자의 경우 우리나라 민법통칙 제 16 조의 규정에 따르면 미성년자의 부모는 미성년자의 보호자이다. 미성년자 부모가 사망하거나 보호자가 없는 사람은 조부모, 형제자매, 다른 친족, 친구 또는 관련 기관이 보호자를 맡는다. 대리인은 원래 민법의 한 제도로, 대리인이 대리인 범위 내에서 대리인의 이름으로 제 3 자와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한 법적 효력은 피대리인의 법률 제도에 직접 귀속된다. 민법통칙 제 64 조는 대리에는 위탁대리, 법정대리, 지정대리가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대리제도와 관련 규칙은 민사법 행위 이외의 다른 행위로 점차 확대되었다. 예를 들면 국가 특허 출원과 같은 신청이다. 세무서에 세금 신고와 같은 신고 행위 소송 등. 특별법 관련 규정 외에 민사대리제도의 관련 규칙은 일반적으로 이런 행위의 대리인에게 적용될 수 있다. 법정 대리인은 법에 따라 직접 규정된 대리인이다. 이것은 국가가 시민을 보호하고 사회질서를 수호하는 특수한 필요이다. 특정 신분을 가진 민사주체는 타인을 대신하여 어떤 법률행위를 실시할 권리가 있는 제도로, 일반적으로 피대리인이 민사행위능력자이거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법정 대리인은 법률의 규정에 따라 대리권을 행사해야 한다. 민법통칙 제 14 조는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보호자가 그의 법정대리인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민사소송법 제 57 조는 민사행위능력이 없는 사람이 보호자가 법정대리인으로 활동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최고인민법원 민사소송법 적용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한 의견 》 제 67 조는 더 설명한다. 소송에서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보호자는 그의 법정 대리인이다. 민사 법률 관계든 소송 법률 관계든 법정 대리인과 보호자는 모두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민사법률관계의 보호자가 확정되면 민사활동이나 소송 활동에서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보호자가 법정대리인으로 민사활동을 하거나 소송에 참가한다. 그들은 단지 서로 다른 법적 관계에서 호칭이 다를 뿐 범위에는 차이가 없다. (2) 보호자와 법정대리인은 서로 다른 상황에서 사용하며 소송법률관계에 법정대리인을 사용해야 한다. 보호자와 법정대리인의 범위는 같지만 각각 다른 법률관계에 사용된다. 보호자의 개념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되며, 보호자의 임무는 주로 보호자의 개인, 재산 및 기타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하는 것이다. 민법통칙 제 18 조는 보호자가 후견인 의무를 이행하고 피보호자의 개인, 재산 및 기타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두 번째는 부양, 보살핌, 관리, 교육 보호자입니다. 미성년자 보호법 제 10 조, 제 11 조, 제 13 조, 민법통칙 제 133 조의 규정에 따르면, 부모나 다른 보호자는 법에 따라 미성년자에 대한 후견의무와 부양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미성년자를 교육하고 감화하며 미성년자의 흡연, 음주, 마약, 매춘을 예방하고 제지하려면 적령 미성년자를 예방해야 한다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사람이 타인을 해치는 것은 보호자가 민사책임을 진다. 셋째, 보호자를 대표하여 민사활동과 관련 소송 활동에 참가한다. 민법통칙' 과' 민사소송법' 에 따르면 민사행위능력이 없거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사람은 법정대리인으로 대리하거나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아 보호자가 법정대리인이다. 무행동능력자는 보호자가 법정 대리인으로 활동한다. 우리 법률에서 보호자의 사용 범위가 법정 대리인의 사용 범위보다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호자' 라는 단어는 민사행위능력자 보호, 민사행위능력자 개인, 재산 및 기타 합법적인 권익 제한, 양육, 보살핌, 관리, 교육, 그들이 초래한 피해에 대한 민사책임을 지는 법적 관계를 설명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법정 대리인" 은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민사법률행위자로 제한하거나 소송에 참여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법률의 명확한 규정에 따르면 이런 법률관계에서는' 법정대리인' 만 사용할 수 있고' 보호자' 는 사용할 수 없다. 특히' 민사소송법' 제 57 조는 무소송행위능력자가 보호자가 법정대리인으로 활동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 의미는 더욱 명확하다. 즉, 소송법관계에서 자신이 여전히 보호자이지만, 보호자는' 법정대리인' 으로 소송에 참여하고, 법률명칭은' 법정대리인' 이다. 따라서' 보호자' 와' 법정대리인' 은 본질적으로 같은 사람이지만 다른 법률관계에서의 사용에 주의해야 하며 혼동해서는 안 된다. (3) 형사소송법에서' 법정대리인' 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관련 정의는 정확하지 않다. 위 분석에 따르면 소송법 관계에는' 법정대리인'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부모나 다른 보호자가 소송에서의 법적 지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소송대리인과의 구분도 쉬워진다. 이런 의미에서 형사소송법 제 14 조는' 법정대리인'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리제도의 원칙과 기타 소송법의 규정에 부합한다. 또 사법해석 등 주로 소송법이나 소송법 관계를 보완하고 해석하는 문서에서도 보호자 대신 법정대리인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형사소송법 제 82 조' 법정대리인' 의 정의는 연구할 만하다. 위의 분석에 따르면 법정대리인과 보호자의 범위는 일치하며, 보호자는 민사행위능력자나 민사행위능력자를 제한하는 법정대리인이다. 또한' 민법통칙' 은 미성년자의 부모가 미성년자의 보호자, 정신병자의 배우자, 부모가 정신병 환자의 보호자라고 규정하고 있다. 형소법은' 법정대리인' 을 대리인의 부모, 양부모, 보호자, 보호책임이 있는 기관, 조직의 대표로 정의해 부모, 양부모, 보호자를 나란히 두고 부모, 양부모가 보호자가 아닌 느낌을 주는 비과학적이다. 미성년자 보호법' 에서 보호자에 관한 규정은' 부모 또는 다른 보호자' 로 통일되어 있다. 형소법을 개정할 때 이런 표기법을 참고하여' 법정대리인' 은 대리인의 부모나 다른 보호자를 가리킨다. 미성년자 보호법 제 56 조가 왜' 보호자' 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미성년자 보호법의' 가족보호' 장이 중요한 부분이며 규정이 많아 주로 부모나 다른 보호자가 미성년자에 대한 양육, 간호, 교육, 관리 등의 후견인 책임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초보적으로 추론했다. 제 56 조에만' 보호자' 가 아닌' 법정대리인' 을 사용하면 전체 법률의 용어가 일치하지 않고 다른 조항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요약하면, 보호자는 법원이 누가 아이의 성장에 가장 유리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법원이 보호자를 지정한다면, 보호자로서 피보호자의 모든 합법적인 이익을 보호해야 하며, 보호 기간 동안 아이가 18 세가 될 때까지 법률 규정을 위반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