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의' 디지털 유역' 건설
국제적으로 강 관리는 전통적인 관리 단계, 장비 개발 및 신기술 적용 단계, 컴퓨터 관리 시뮬레이션 단계, 네트워크 기술 및 시뮬레이션 기술 단계의 네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미국, 캐나다, 일본, 프랑스, 호주 등의 국가는 이미 3 단계에서 4 단계로 도약하여 단일 강 (유역) 관리에서 국가 관리로 상승하여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미국과 일본도 국가 자원 관리를 실현하여 데이터 플랫폼과 소프트웨어의 통합 공유를 실현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주요 유역의 통치는 여전히 3 단계에 있으며, 4 단계로 전환하고 있다.
(1) 미국 현대유역 관리: 미국의 유역 관리는 현재 국제적 발전 방향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모델 및 첨단 기술 수단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역 수자원 및 관련 방면의 관리는 연방 정부 자원의 일부이며, 인터넷에서 미국의 거의 모든 강과 호수에 대한 수문 및 수질 정보의 데이터 관리 상태를 볼 수 있다.
미국의 모든 강 (유역) 에 대해 유역 내 자원 관리는 비교적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완벽한 자동 수문 예보 네트워크 시스템, 홍수 자동 경보 시스템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강 (유역) 데이터 수집의 주요 수단은 원격 감지 기술이며, 영상 정보 수집은 주로 프랑스 SPOT 위성, 캐나다 RADARSAT 위성, 미국 LANDSAT 위성, NOAA 위성 등 관련 첨단 기술 장비 (예: 측정 레이더,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 등) 에 의존한다. 수집한 데이터 정보에는 주로 강우량, 수위, 수질 및 수온이 포함됩니다. 정보 전송은 주로 마이크로웨이브, 초단파, 광케이블, 위성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은 강 (유역) 홍수 예보 파견의 다목적 최적화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전체 수자원 시스템의 종합 이용 수준을 높이고 생산성과 경제성을 크게 높였다. 의사 결정 지원에서는 강 (유역) 의 특성에 따라 의사 결정 지원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구축되었습니다.
(2) 유럽 루아르 강 (프랑스) 과 라인강 유역 (독일) 의 현대 통치. 유럽이 통합되면서 유럽 국가들 간의 경계가 점점 드러나지 않고 강 (유역) 관리도 점차 일치되고 있다. 유럽 유역의 현대화 관리는 주로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및 전송, 데이터베이스 구축, 의사 결정 지원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에 반영됩니다. 현대 선진 기술의 응용은 주로 지리 정보 시스템, 원격 감지 기술, 마이크로웨이브 원격 감지 데이터, 위성 원격 감지 및 현대 측정 기술의 응용을 포함한다.
현재 유럽 선진국의 강 자동 및 반자동 모니터링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완벽해졌으며, 그 모니터링 네트워크는 주로 고정 관측소, 지상 레이더 네트워크, 원격 탐사 위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질감시망, 수문기상감시망, 대지측량망, 원격감지, 항공측등 감시소망을 포함한다. 원격 감지 모니터링 위성은 주로 IRS-P2, ALMAZ- 1B, METEOSAT, LANDSAT, SPOT 및 ERS 위성을 포함합니다. 라인강 유역 관리의 기본 데이터는 SPOT, TM, SAR, ERS 영상 정보, DEM 및 수문기상국 실측 데이터에서 나온 것입니다.
유럽에서 유역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수문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기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수질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지리 데이터베이스, 수질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 등이다. 예를 들어, 유역 관리를 위한 프랑스의 데이터베이스는 각각 물 데이터베이스, 강우 분포 데이터베이스 및 지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됩니다. 유역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임무는 실시간 데이터 (원시 및 검증되지 않은 데이터) 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검사, 정리, 보관 및 처리하는 것입니다. 그 기능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데이터의 무결성과 데이터 활용의 효율성을 유지하며, 수자원 이용, 홍수 방지, 수질오염 관리 및 생태 보호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역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성 이미지 처리 모델, 생태계 시뮬레이션 모델, 수질 시뮬레이션 모델, 지표수 관리 모델, 지하수 운영 관리 모델, 홍수 경보 예측 모델 등을 구축하고 적절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습니다.
동시에 완벽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문 수질 생태 등의 정보를 네트워크화하여 서비스 의사 결정 관리의 목적을 달성한다.
(3) 일본의 하천 정보 시스템 건설: 1975 년 첫 하천 정보 시스템 설립 이후 일본은 이미 3 세대 하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1975 년 일본은 기소천강 수계에 최초의 하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다양한 정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건설성은 1994 정도에서 2 세대 종합수로 정보 시스템을 개발했다. 정보 수집 주기를 단축하고 수질, 눈, 기상, 수토 손실, 댐 안전 등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을 늘렸다. 2 세대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1999 는 3 세대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관리정보화와 정보 공개를 추진하기 위해 건설부는 1 수계의 수문지질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온라인에 공개했다.
2. 국내 "디지털 유역" 건설
디지털 유역' 개념이 제기된 후 국내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디지털 유역' 의 전반적인 틀을 제시했다. 주효봉 등 (2003) 은' 디지털 유역' 의 주요 내용은 방대한 다차원 유역 데이터를 먼저 관리한 다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 가능한 호출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위안 등 (200 1) 은' 디지털 유역' 건설의' 다중 S 층' 구조를 제시했다. 당준우 등 (2003) 은 서비스 시스템, 기술 사양, 데이터 및 관리, 아날로그 모델의 네 가지 기능 모듈로 구성된 디지털 유역의 전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우계평 (2003) 은 디지털 유역의 직교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했다. 유계평 (200 1) 은 인터넷이나 기업 사설망을 지탱하고 ArcSDE/ArcInfo 를 GIS 플랫폼으로 하는 디지털 유역 공간 정보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장 (200 1), 유가홍, (2006) 은 데이터 계층, 모델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 디지털 유역의 전반적인 프레임워크를 논의했습니다. 상술한 연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나라 디지털 유역 건설의 기초를 다졌다. 20 세기 이래로 중국은 "디지털 해하 강", "디지털 황하", "디지털 양쯔강" 등과 같은 일련의 디지털 강 건설을 시작했다.
2002 년 6 월, 해하수리위원회는' 디지털 해하 유역 마스터 계획' 을 완성하여 10 년 내에' 디지털 해하' 를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 해하수리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골간 홍수 방지 정보망과 골간 정보 전송망, 판가구 수리공사 등 중점 공사가 초보적으로 완공돼 자동 감시를 실현하고 있다. 유역 수자원 보호 정보 시스템, 경진의 중요한 수원지 수질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미운저수지 상류 수토 유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초보적으로 건설되었다.
황하 수리위원회는' 디지털 황하' 와' 원형 황하',' 모형 황하' 를' 3 조 황하' 라고 부르며' 디지털 황하' 의 최종 목표는 황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의사 결정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3 년 4 월 수리부는' 디지털 황하' 공사의 계획을 정식으로 비준했다. 현재' 디지털 황하' 공사의 1 기 공사로서' 샤오화 폭우홍수 예보 시스템' 과' 황하수 파견 시스템' 이 이미 가동되고 있다.
창장수리위원회는' 디지털 창장' 3 단계 건설 임무를 계획했다. 최근 목표: 2003 년까지' 상임위원회' 인트라넷과 수리기초데이터베이스 건설을 완료한다. 중기 목표: 2005 년까지 1 1 개 계층 어플리케이션 하위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장기 목표: 20 10 까지 장강 유역 수리 정보 플랫폼 및 종합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본적으로' 디지털 장강' 의 웅장한 구상을 실현하다. 디지털 장강' 3 단계 임무는 디지털 유역 프레임워크의 세 계층, 즉 데이터 계층, 모델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해당합니다.
앞서 언급한 3 대 유역의' 디지털 유역' 건설 외에도 송일 유역, 태호 유역, 주강, 흑하, 화이하 등 다른 강들도 점차 유역 정보화 관리를 실시하여 유역 관리의 현대화, 과학기술화, 정보화를 실현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