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흥량의' 형법 계몽' 이라는 책은 멘데스쿠에서 리스터까지, 형사고전학파에서 형사사회학파에 이르기까지 형법 사상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체계적으로 소개했다.
멘데스비둘기부터 그는 실재법을 초월하여 형법 정신을 탐구하는 것이 이성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몬테스키외 (Montesquieu) 를 따르는 베카 리아 (Becaria) 는 봉건 독재를 비난하고 합리성을 주장하며 공리의 건설을 주장했다. 그리고 변담의 공리주의, 페르바하의 협박, 칸트의 도덕, 헤겔의 이성, 그들의 사상과 이론은 형사 고전 학파의 매력을 반영한다. 체사레 롱브로소는 분계점이며, 그의 범죄 이론은 범죄 인류학의 출현을 대표한다. 그가 어떤 잘못을 저질렀든 체사레 롱브로소는 위대한 파이오니아이다. 그의 독창성, 다면적 천재, 진취적인 인격은 현대 과학의 경험법과 귀납법을 범죄 문제에 적용하는 위대한 운동으로 이어졌다. 그는 누구보다도 새로운 범죄학의 발전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 평가는 체사레 롱브로소에게 비교적 타당하며, 체사레 롱브로소의 인격적 매력도 엿볼 수 있다. 체사레 롱브로소의 제자, 필리, 갈로팔로는 범죄 사회 학파를 세우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 마지막으로 목적형주의를 주장하는 리스터는 특수예방에 치우쳐 있다. 체사레 롱브로소 외에도 두 사람이 나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하나는 베카리아, 하나는 헤겔이었다.
이러한 형법 사상가들에 대한 경외심을 제외하고, 나는 이 책을 읽음으로써 독서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갖게 되었다. 나는 독서가 내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들의 관점을 장악할 뿐, 더 중요한 것은 독서의 전 과정이다. (존 F. 케네디, 독서명언) 저자가 한 문제에 대한 추리와 해석을 볼 때, 그가 어떻게 자신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지, 동시에 이러한 문제들, 자신의 관점이 무엇인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이 관점이 성립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관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사실 그것을 읽는 것은 독자들의 사고를 유도하는 계발적 도구여야 한다. 문제가 생겼을 때, 여러 학자의 의견을 찾거나 보편적이고 결론적인 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독서를 통해 발견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독서명언) 이렇게 해야만 자신의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도 내가 이 책을 다 읽은 후 독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