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충돌 이론 개론
코시와 대런도프를 대표하는 사회충돌 이론은 사회충돌의 원인, 형식, 제약 요소,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구조기능주의 이론에 대한 반성과 반대다. 구조기능주의는 사회 안정과 통합을 강조하며 보수적인 사회학을 대표하고, 사회충돌 이론은 사회 통합과 발전에서 사회적 갈등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급진적인 사회학을 대표한다. 이 이론은 1960 년대 말 미국과 서유럽 국가에서 유행하면서 서구 사회학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사회학의 각 분야에 대한 실증 연구에 침투했다. 정치사회학, 조직사회학, 민족관계, 사회계층화, 집단행동, 결혼가정 등 분야에서 갈등의 개념에 기반한 저서가 대거 등장해 당대 사회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