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법률 지원 - 사법권의 수동성 (Passivity)
사법권의 수동성 (Passivity)
사법권의 수동성이란 사법권이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재판할 수 있는 것으로, 신청 행위와 신청 내용을 포함해 사법절차를 자발적으로 시작하거나 당사자의 신청 내용을 무단으로 바꿀 수 없다는 뜻이다. 프랑스 학자 토크빌은 미국 사법권을 고찰할 때 수동성을 사법권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삼아 사법권이 요청을 할 때만 행동을 취하거나 법적 용어로 사건을 심리할 때만 행동을 취한다고 판단했다. 본질적으로 사법권 자체는 활발하지 않다. 만약 그것이 자발적으로 법률의 감찰관으로 가장한다면, 그는 월권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학자 그레이의 관점에서 볼 때, "판사는 조직적인 기관이 임명한 사람이고, 그 권리와 의무는 그 권리를 요구한 사람의 신청에 따라 결정된다. 사실, 그가 행동을 취하는 것은 단지 판사와 행정관을 구별하기 위해 그에게 신청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 사법권의 이런 수동성은 법률을 적극적으로 집행하고 각종 행정사무를 관리해야 하는 행정권과의 중요한 차이 중 하나로 여겨진다. 행정권은 관리 내용의 돌발성 및 광범위성, 관리 목적의 공공성 및 공익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행정기관이 적극적으로 효율적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따라서 사법권과 달리, 행정기관은 가동과 운영 과정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있어 위법 행위에 귀를 기울일 수 없고,' 행정기관의 직권과 국가나 국민의 필요에 따라 자발적으로 한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