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국제 무역 관행은 적용 가능한 계약을 구속한다. 거래 쌍방이 모두 어떤 관례를 채택하여 거래를 구속하는 것에 동의하고 계약서에 명확한 약속이 있다면, 이런 약정의 관례는 계약에 있어서 의무적이다. 채택된 공약의 조항과 내용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계약 집행 중 분쟁이 발생할 경우 분쟁 사건을 접수하는 사법과 중재기관은 공약을 적용하여 판결이나 판결을 내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제무역관행은 강제성이 없지만 국제무역관행에서의 지도 역할은 무시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대외무역활동에서 이러한 관례를 적절하게 운용하는 것은 대외무역업무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국제무역관례에 관한 지식을 배우고 습득하는 것이 우리가 무역분쟁을 피하거나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분쟁이 발생하더라도 공약을 인용하고 유리한 지위를 쟁취하고 불필요한 손실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