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법률 지원 - 입실 절도는 어떻게 정의됩니까?
입실 절도는 어떻게 정의됩니까?
"강도, 강도, 강도 형사 사건 적용 법률 몇 가지 문제에 대한 최고인민법원의 의견" 에 따르면 "입실 절도" 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는' 가구' 의 범위다. 이곳의' 가구' 는 숙소를 가리키며, 다른 사람의 가정생활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며, 외부와 상대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전자는 기능적 특성이고 후자는 장소 특성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숙사, 호텔, 임시공막 등이 있습니다. "가구" 로 간주해서는 안 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가구" 로 간주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농촌의 작은 가게는 낮에 운영하고 밤에 거주하며 밤에 물건을 훔치는 것은 전적으로 집주인으로 인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합세집, 한 사람당 방, 거실, 화장실이 있습니다. 이 중 한 방에 잠입해 절도를 한다면 입주로 인정할지 여부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피해자의 방이 개인용으로만 잠겨 있다면, 행위자는 자물쇠를 비틀어 집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피해자가 같은 세입자를 신뢰하고 방이 잠기지 않고 개방되어 있고 집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다면 입실로 인정되지 않는다. 사람이 목재를 실내에 넣어 재물을 보는 경우, 행동인의 몸이 이미 모두 실내로 들어왔는지, 창밖만 있다면 실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경향적인 의견이 있다. 둘째,' 입가' 목적의 위법성. 남의 거처에 들어가는 것은 절도 등 범죄를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절도는 실내에서 발생하지만 행위자는 절도 등 범죄를 목적으로 남의 숙소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실내에서 임시로 절도를 실시하는 것으로' 입실 절도' 에 속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집을 인테리어하고 건축업자가 재물을 발견하고 가져가는 것은 입주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