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화해와 부수적인 민사소송 조정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러한 공소사건에서 범죄 용의자, 피고인이 진심으로 뉘우치고 손해 배상, 사과 등을 통해 피해자 양해,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화해하는 경우 쌍방이 화해할 수 있다. 새로운' 형사소송법' 제 99 조는 "피고인의 범죄 행위로 물질적 손실을 입은 피해자는 형사소송 과정에서 부수적인 민사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 고 규정하고 있다.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민사행위 능력을 상실한 경우 피해자의 법정대리인과 근친은 부수적인 민사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 " 민사소송에 수반되는 당사자의 화해와 중재는 기능적으로 어느 정도 융합성을 가지고 있어 당사자가 갈등을 해소하고 사건 해결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손해를 배상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경우, 둘 다 피해자가 상응하는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당사자 화해와 부수적 민사소송 중재는 차이가 있어 쉽게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1. 성격과 절차상 민사소송은 피해자가 범죄 행위로 인한 물질적 손실에 대해 제기한 단독 소송이다. 그 본질은 민사소송이기 때문에 다른 권리자들이 부수적인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전제조건이다. 당사자 간의 화해는 피해자와 피고인 간의 사적인 화해이지 소송의 한 형식이 아니다. 조사, 기소, 재판의 어느 단계에서든 화해를 이룰 수 있다. 2. 방식과 범위로 볼 때 민사소송은 주로 손해배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법원은 물질적 손실에 따라 중재하고 판결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당사자 간의 화해는 쌍방의 합의의 산물이며 손해배상 문제를 간단히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피고인이 자발적으로 진심으로 뉘우치고 사죄사과를 통해 양해를 구하고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화해하여 화해협의를 이루면 손해배상 문제는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당사자의 화해 절차는 배상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쌍방은 배상 금액을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3. 효과로 볼 때 당사자 화해는 수사 기소 재판의 어느 단계에서든 이뤄질 수 있고, 화해합의에 도달한 사건에 대해서는 검찰이 불기소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민사소송은 일반적으로 재판 단계에서 제기된다. 또 민사배상과 양형을 수반하는 관계는 형사소송법에는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화해협의를 달성한 사건에서는 형사소송법에는 명확한 규정이 있다. 이에 따라 당사자 화해가 사건 처리와 양형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법적으로 확인되어 명확한 법적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민사소송과 관련된 이 절차의 독특한 가치에 대한 중요한 표현이기도 하다. 4. 제도적 기능의 관점에서 볼 때, 두 가지 효과적인 분쟁 해결 방법으로 당사자 화해와 부수적 민사소송 조정은 각각 고유한 적용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가 재판 단계에서 민사소송을 제기한 뒤 피고인과 화해한 사건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이에 대해 최고인민법원은' 신형사소송법 및 사법해석 적용 문제 답변' 에서 지적했다. "쌍방이 화해협의를 달성하고 즉시 이행한 경우, 민사소송 원고인이 부수적 민사소송을 철회하는 것을 화해협의에 명시해야 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민사소송, 민사소송, 민사소송, 민사소송) 쌍방이 화해를 원하지만 피고는 즉시 모든 배상 의무를 이행할 수 없으며 인민법원은 화해협의를 만들어서는 안 되며 민사조정서를 만들어야 한다. " (저자 단위: 허난성 뤄허시 옌청구 인민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