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특허 조회 - 특허의 실용성을 판단하는 기준
특허의 실용성을 판단하는 기준
첫째, 실용적인 발명품은 제조되거나 사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실행 가능해야 합니다.

발명품을 실천에 옮기려면 상세하고 구체적인 계획이 있어야 한다. 단 하나의 생각, 구체적으로 구현되지 않은 발명품, 미완성 발명품이라고 합니다. 미완성 발명은 실현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남방 하늘에 거대한 빗물 쟁반을 짓고, 쟁반 아래에 직접 수도관을 연결하여 북방에 이르는 홍수재해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방의 오랜 가뭄과 비를 피하고, 거시적으로 우리나라 남수북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이런 생각이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는지 아닌지는 말할 필요도 없고, 이런 생각으로는 빗물 접시, 수도관 등과 같은 구체적인 실시 방안이 없다. 어떻게 만드는지, 어떤 재료를 쓰는지 기껏해야 미완성 발명일 뿐, 확실히 실용적이지 않다. 만약 방안 자체가 자연의 법칙을 어긴다면, 아무리 교묘한 발명도 분명 실용적이지 않을 것이다.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는 발명은 실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동기, 에너지 보존 법칙을 위반하는 제 1 종 영동기, 열역학 제 2 법칙을 위반하는 제 2 종 영동기는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술 방안을 가지고 있고,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는 발명만이 시행될 수 있다.

구현 가능성의 또 다른 의미는 발명품의 반복 구현을 요구하는 것이다. 일부 방안은 상세하고 구체적이지만, 공업에서는 반복 실시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실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한 장강대교는 장강을 가로질러 거북사산 사이에 있다. 독특한 자연지리 조건을 이용하는 이런 방안은 반복적으로 실시하기 어렵고, 자연은 특허법의 실용성을 갖추지 못한다. 발명 발명 특허를 신청할 때, 법률은 신청자가 발명의 기제를 설명하지 않도록 허용하며, 때때로 발명가들은 그 기리를 전혀 모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많은 발명이 우연히 발견되어 그 원리를 이해하기에는 너무 늦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 발명 창조는 반복될 수 있어야 한다. 신청서에 제시된 방안에 따라 진행하기만 하면, 그것은 분명히 주장한 효과를 재현하고,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이런 발명만이 실현될 수 있다.

둘째, 실용적인 발명은 반드시 긍정적인 효과, 즉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이곳의 유익함은 발명이 사회경제 발전과 물질문명, 정신문명 건설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긍정적인 작용은 제품 품질 향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과 생산 환경을 개선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고, 생산비용을 낮추는 등.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수익이 이전 섹션에서 창의력에 대해 언급한 기술 진보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수혜자는 사회 요구를 충족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술 진보는 기존 기술에 대한 기술적 특징의 진보만을 의미합니다. 전체 컴퓨터 제어 자동화 작업장이 완전히 수동 작업으로 바뀌면 기술적 진보가 없을 것입니다. 반면에 사회의 취업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익과 기술 진보는 두 가지 다른 개념이다. 하지만 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어 눈에 띄게 악화된 기술방안은 분명 이득이 되지 않을 것이다.

법적 근거:

중화인민공화국 특허법

제 22 조 특허권을 부여받은 발명이나 실용 신안은 참신함, 창의력, 실용성을 갖추어야 한다.

참신함은 이 발명이나 실용 신안이 기존 기술에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신청일 이전에는 어떤 기관이나 개인도 같은 발명이나 실용신형을 국무원 특허 행정부에 신청하지 않고 신청일 이후 발표되거나 공고한 특허 출원 서류에 기재되어 있다.

창조성이란 기존 기술에 비해 눈에 띄는 실질적 특징과 눈에 띄는 발전을 의미하며, 실용 신안에는 실질적 특징과 진보가 있다.

실용성은 이 발명이나 실용신형이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고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본 법에서 말하는 기존 기술은 신청일 이전에 국내외에서 대중에게 알려진 기술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