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법률 상담 무료 플랫폼 - 특허 조회 - 전해 콘덴서의 구조적 특성과 용도
전해 콘덴서의 구조적 특성과 용도
전해 콘덴서의 구조 및 특성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양극성 콘덴서로, 양극판은 알루미늄 호일로 만들어져 전해질에 침수되어 양극산화 처리를 하고 알루미늄 호일 표면에 산화 알루미늄 막을 형성하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0.02-0.03 μ m 로, 이 산화막은 양극판 사이의 절연 매체이다. 콘덴서의 음극은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붕산, 암모니아, 에탄올로 이루어져 있다. 콘덴서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해질을 특제 종이에 담근 다음 전해질에 담근 종이에 원알루미늄 침전을 붙이면 음극은 그림 4-82 (a) 와 같이 쉽게 원래의 알루미늄 호일에서 추출할 수 있다. 양극과 음극은 중심축에 따라 감아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코어를 형성한 다음 알루미늄 케이스에 캡슐화하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형성합니다. 전해질 누출과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껍데기의 입구는 그림 4-82 (b) 와 같이 고무 마개로 밀봉되어 있습니다.

더 큰 커패시턴스와 더 작은 부피를 얻기 위해 화학적 부식을 통해 양극 알루미늄 호일의 한쪽에 울퉁불퉁한 표면을 형성하여 전극의 표면적을 늘리고 콘덴서를 높인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양극판의 산화 알루미늄 막이 단방향 전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성을 가지고 있다. 알루미늄 합금 필름은 콘덴서의 양극이 전원 양극에 연결되어 있고 음극이 전원 음극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절연 매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극성이 반전되면 산화 알루미늄 막이 도체가 되어 전기 분해 콘덴서가 작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전류 통과로 인해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가 예기치 않게 폭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껍데기의 끝면에 방향성 홈이 있는 기계적 약한 고리가 눌려 있다. 일단 전해용량 내압이 너무 높으면 약한 부분의 홈이 갈라져 세계압방폭으로 진행된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극성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와 공예에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면 비극성 전해 콘덴서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