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국 과학기술원)
전해질이 물에 용해되는 상황에 따라 물 전기 분해 장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값비싼 플루토늄 촉매제 대신 과도금속으로 만든 촉매제를 사용하더라도 양성자 교환막 (PEM) 을 사용하는 장치는 고속 수소반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들이 이 기술의 상업화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연구는 높은 반응성을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지만 전기화학 환경에서 부식하기 쉬운 과도금속의 내구성을 높이는 연구는 간과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 (KIST) 의 한 연구팀은 장기적 내구성을 지닌 과도금속으로 만든 촉매제를 개발해 수소 생산 효율을 높이고 텅스텐을 사용하지 않는 비백금 촉매의 내구성 문제도 극복했다.
연구팀은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을 통해 소량의 티타늄 (Ti) 을 저비용 과도금속 인화 몰리브덴 (MoP) 에 주입했다. 몰리브덴은 가격이 저렴하고 처리하기 쉬우며 에너지 변환 및 에너지 저장 장비의 촉매제로 자주 사용되지만, 그 약점은 산화되기 쉬우므로 부식된다.
연구진은 촉매제의 합성 과정에서 각 재료의 전자 구조가 완전히 재구성되어 결국 플루토늄 촉매제와 같은 산소 발생 반응 (HER) 활동을 이뤄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전자 구조의 변화는 부식성이 높은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촉매제의 내구성은 기존의 과도금속 기반 촉매제보다 26 배 높아 비백금 촉매의 상업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
이 글은 자동차 작가 자동차의 집에서 온 것으로, 자동차의 집 입장을 대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