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릴링 관찰
지면에서 구멍을 뚫고 세척액의 소모량을 관찰하여 복암 낙하와 수분 균열대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은 국내외에서 여러 해 동안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정금천 (2002) 은 학벽석탄업그룹사 8 번 지뢰밭 채굴구 위에 두 개의 관측선과 다섯 개의 관측정을 배치했다. 시추공 세척액 소비법을 사용하여 단일 구멍 유도수 균열대를 정상치에서 첫 번째 최고치 누출에 해당하는 깊이와 층위가 최고점으로 측정되어 경사각이 23 인 약한 상단 판의 채열비 4.9 를 측정했다. 단단한 지붕의 채열비는 9.7 이다. 송계수 (2005) 는 정상 드릴링 시공시 수위, 소비, 물 주입량이 갑자기 변하는 것을 확정했고, 심심은 불완전하고, 도수 균열대 상한선으로 부서지고, 드릴링, 카드 드릴, 흡풍의 발생은 낙하대 상한선을 결정하고, 기동탄광 3223, 324/Kloc-0 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같은 작업면의 두 드릴링 차이는 25m 입니다. 또한 드릴링 암석 이동에 대한 관찰 실험과 일부 드릴링에서 물 주입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누출과 암석 모션 데이터의 관계를 분석하여 물 전도 균열 영역의 최대 높이에 해당하는 암석 모션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Kailuan Fangezhuang 광산 (1964) 은 수직 변위 10 mm/m 의 물 전도 균열대를 나눕니다.
채굴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 경사 드릴이 점차 지면 드릴을 대신한다. 1990, 산둥 과학기술대는 국가 특허 (특허 번호 90 1063487) 의' 양단수플러그' 지하 고도 관측 기술을 획득했다. 관측 시스템에서는 양단 차단 캡슐이 있는 물 주입 탐측관을 채택했다. 캡슐이 파이프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물이나 기체로 충전되면 캡슐이 빠르게 팽창하여 막힌 우물의 양쪽 끝을 꽉 막고 주수관을 통해 우물을 막는다. 양두 봉쇄로 인해 우물 아래 사공을 이용하여 파고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웅소영 (1998 기암은 회암, 사암, 분사암이고, 지붕 솔기는 채비 10 이다. 고연법 (200 1) 은 이미 가일 동환오, 탕산, 돈영 광산에서 고도 측정을 하여 좋은 효과를 거두었다. 이 기술은' 지상 시추 세척액 소비법' 에 비해 다음과 같은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① 시추량이 적고 비용이 저렴하다. 토지 취득, 지상 구멍 보상 등의 번거로움과 비용을 피할 수 있다. ② 높은 테스트 정확도, 0. 1L/min 의 침투율, 반복 관찰 가능. ③ 호수, 얕은 바다, 수충층 아래 석탄층 채굴 관측에 사용할 수 있다. 실제 효과로 볼 때, 드릴링 관측 정확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결정된 낙하높이와 도수를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단점은 비용이 많이 들고, 주기가 길며, 드릴링의 국부 지점에서만 관찰할 수 있고, 암층의 기본 균열이 발달할 때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2) 지구 물리학 탐사 및 로깅 기술
1980 년대 이래 지하 물물리 기술은 국내외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었으며, 현대 설비와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보완되었다. 광산 직류법, 지질레이더, 순간변화 전자기, 레일리 파동기, 고해상도 지진, 미진 모니터링 등이 모두 지붕판 균열 탐지에 적용된다. 다양한 탐지 기술을 결합하여 종합 탐지를 형성하여 상판 복암 파괴 관측의 발전을 더욱 추진하였다. 드릴링 음파 측정, 드릴링 전파 원근 기술, 드릴링 전자파 단층 촬영 (CT), 드릴링 음향 CT 단층 촬영 기술, 변형 방지 사운 딩, 드릴링 암석 이동 관찰 등
이준 (1997) 은 고해상도 지진계로 자라노어 광무국 철북광산의 약한 지붕 낙하대와 낙하대를 측정했다. 깊이 해석 오차가 0.5m 미만인 결과 1.3, 배율 8. 1 1 이 산출되었습니다. 고해상도 지진계는 지층 전파 중 파도 임피던스 차이가 0 이 아닌 인터페이스를 만나면 인터페이스에서 굴절파와 반사파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굴절 또는 반사파를 수신하면 지층 인터페이스의 암석 및 구조 정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Goaf 의 낙하구 암성 푸석한 틈으로 인해 틈 속의 공기와 물은 주변 암석에 비해 파동 임피던스의 차이가 크며, 상단 인터페이스는 종파 반사의 "하이라이트" 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물과 가스의 탄성 계수는 0 이므로 전단파 단면에는 반사 "어두운 점" 이 있으며, 가로파와 가로파의 대비를 통해 암석 인터페이스와 가스 (액체) 인터페이스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낙하대 꼭대기는 불규칙한 암석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고, 인터페이스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어 반사가 확산되어 지진 반사파 그룹의 돌연변이를 초래한다. (데이비드 아셀,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계절명언) 낙하대에 의해 형성된 반사는 주로 낙하대가 수평 반사층에 미치는 파괴, 지진 위상의 변화, 국부 발육의 우회 현상으로 나타난다.
호주 Gordonstone 탄광 (1994) 에서는 주요 석탄층 Germancreek 의 폭 250m, 길이 1500 ~ 2000 m 의 긴 벽 작업면을 미세 지진 모니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했습니다. 이벤트 응답의 상단 보드 파단 법칙은 이론적 분석과 일치하여 상단 보드 파단 높이를 더 잘 반영합니다. 주요 원리는 지하 석탄층이 채굴된 후 상복암층이 지지를 잃고 스트레스 불균형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응력이 어느 정도 되면 갑자기 방출되어 상단 바위가 부러지거나 떨어지게 되어 대량의 미진 신호가 발생합니다. 이 신호들은 천연지진과 비슷하지만 에너지가 약하고 전파 범위가 작아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미진' 이라고 불린다. 석탄층 상단 보드에는 두 가지 균열, 즉 스트레칭 균열과 전단 균열이 있다. 미세 지진 모니터링은 전단 파열 지대를 교정할 수 있다. 산둥 성 탄전 지질국 (1998) 은 호주 탄광미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야광그룹사 흥장탄광 4320 작업면에 대해' 양대' 모니터링 실험을 실시했다. 사건이 밀집된 지역을 산산조각 내는 지대로, 석탄층 경사각의 영향으로 작업면 석탄층 심도가 크게 바뀌면서 석탄층 깊이가 얕을수록 두 벨트의 발육 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는 모니터링 결과가 나왔다. 라시 탄광 3 # 107 작업면 (왕화군, 2006) 은 미진 (MS)
한욱산 (200 1) 은 음파 측량으로 형성된 음파 진폭 이미지와 음파 시차 이미지를 이용하여 퇴적 운율과 순서의 변화를 식별하여 분리대, 산산조각, 붕괴대를 식별한다.
남공기광 (1998,1999 작동 원리는 음파를 이용하여 손상된 느슨한 암석 덩어리에서 전파할 때 전파 속도가 느려지고, 암체의 음향 에너지 소비가 크며, 진폭이 작고, 스펙트럼의 고주파 성분이 강하게 흡수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채굴 전후 상복암층의 음파 변화를 측정하여 유도수단대의 높이를 탐지한다는 것이다. 원리는 음향 CT 검출과 비슷하다. 구멍 간 암체 전파 투시 탐지와 전자파 CT 단층 촬영 기술도 물 전도 틈 중 암체를 투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참고의의가 있다.
지구 물리학 탐사 기술에 의해 탐지된 낙하높이는 종종 실제 지질 조건과 생산 조건에 따라 논증하거나 검증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의 자료 분석에 따르면, 미진 감시는 상판 복암의 파괴 특징을 동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서진 벨트의 전모를 더 잘 반영하고, 떨어지는 벨트와 부서진 벨트를 구분할 수 있다. 관측 결과는 이론 분석과 일치하여 좋은 응용 전망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