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권은 주거권자가 다른 사람이 소유한 집과 부속시설에 대해 누리는 전부 또는 일부를 소유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 권리는 고대 로마법에서 유래했다. 근대 이래 유럽 대륙 국가의 주요 민법전, 예를 들면' 프랑스 민법전',' 오스트리아 민법전',' 독일 민법전',' 스위스 민법전',' 이탈리아 민법전' 은 모두 거주권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영미도 주거권 기능과 비슷한 제도 (예: 평생토지재산권) 를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 물권법 제정 기간 동안 주거권 제도의 포함 여부는 당시 가장 논란이 많았던 문제 중 하나였다. 결국 법에 규정되지는 않았지만, 이 과정에서 이론계와 실무계는 주거권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를 통해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민법전에서 거주권 제도의 설계를 위한 좋은 토대를 마련했다.
형식상 거주권과 임대권은 비슷한 점이 있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다. 첫째, 거주권은 독립된 이용익물권이고, 임대권은 채권에 속한다. 거주권은 물권성, 절대성, 직접지배성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권리자는 집을 독점하고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 거주권의 안정성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임차권은 일종의 채권으로 상대적이며, 임차권자의 권리 의무는 채무자와의 사전 약속에 따라 특정 채무자와만 맞설 수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임차권, 임차권, 임차권, 임차권, 임차권, 임차권) 둘째, 거주권은 반드시 등록하고 등록해야 성립된다. 등록되지 않은 것은 거주권 설립의 효력이 없다. 임차권은 본질적으로 일종의 채권으로, 등록 여부는 일반적으로 리스 관계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로, 임대권은 임대료를 지불하는 기초 위에 세워졌으며, 거주권은 원칙적으로 자유롭다. 넷째, 거주권 기한은 제한이 없고 임대 기간은 최대 20 년을 넘지 않는다. 민법전' 에 따르면' 주거권 기한이 만료되거나 권리자가 사망하면 거주권이 소멸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권리자에게 더 안정적인 생활이익을 가져다 준다. 거주권 기간 동안 법정이나 약정의 사유가 없다면, 주택 소유자가 권리자에게 이주를 요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집이 매각되거나 상속되더라도, 집의 구매자나 상속인은 권리자에게 이주를 요구할 수 없다.